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충남 논산]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일원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12. 3. 10:00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일원

     

    사계선생의 묘소는 오래전에 다녀온 곳이지만 답사기를 올리지 못해 이제사 올린다. 이곳은 광산김씨

    중흥을 이룬 양천허씨 부인과 그 아들 김철산 묘 등 사계선생의 조상들 묘가 함께 있다.

    광김은 사계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金集)이 예학(禮學)을 집대성한 대학자로 사후에 해동18현

    (海東18賢)에 추앙되어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되는 영예를 안았다. 더구나 문묘에 배향된

    18현 중 한 가문에서 2명이 배향되기는 송시열과 송준길을 배출한 은진송씨(恩津宋氏)와 광김뿐인데

    부자가 나란히 배향되기는 김장생, 김집이 유일하다.

    김장생 가문이 조선의 3대 명문을 이루기까지는 김장생의 7대조 할머니인 양천허씨(陽川許氏)의

    역할을 빼 놓을 수 없다. 그녀는 조선 태조 때 대사헌을 지낸 허응(許應)의 딸로 한림원의 벼슬을 하던

    김문(金問)과 혼인을 하였지만 그가 일찍 사망하여 17세의 어린 나이에 청상과부가 되고 말았다.

    그러자 딸의 신세를 가엾게 여긴 친정 부모는 몰래 다른 곳으로 개가(改嫁)를 시키려고 혼처를 알아보고

    다녔는데, 이 사실을 알게 된 그녀는 그 길로 개성을 떠나 유복자인 아들 철산(鐵山)을 데리고 김문의

    아버지 김약채(金若采)가 광김으로는 처음으로 터를 잡아 살고 있는 연산(논산) 고정리의 시가(媤家)까지

    걸어서 내려 왔다고 한다.

    이렇게 장황하게 쓰는 이유는 제가 광김이기 때문...ㅎㅎ

    김장생(金長生)
    1548(명종 3)∼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 서울 출신. 할아버지는 지례현감 호(鎬)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계휘(繼輝)이며,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우참찬 영(瑛)의 딸이다. 아들이 집(集)이다.
    1560년 송익필(宋翼弼)로부터 사서(四書)와 ≪근사록 近思錄≫ 등을 배웠고, 20세 무렵에 이이(李珥)의 문하에 들어갔다. 1578년(선조 11)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이 되고, 1581년 종계변무(宗系辨誣)의 일로 아버지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돈녕부참봉이 되었다.
    그 뒤 순릉참봉(順陵參奉)과 평시서봉사(平市署奉事)를 거쳐 활인서(活人署)·사포서(司圃署)·사옹원(司饔院) 등의 별제(別提)와 봉사(奉事)가 내렸으나 모두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그 뒤에 동몽교관(童蒙敎官)·인의(引儀)를 거쳐 정산현감(定山縣監)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호조정랑이 된 뒤, 명나라 군사의 군량 조달에 공이 커 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로 승진하였다. 1596년 한 때 연산으로 낙향했는데, 단양·양근 등지의 군수와 첨정(僉正)·익위(翊衛)의 관직이 거듭 내려졌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듬 해 봄에 호남 지방에서 군량을 모으라는 명을 받고 이를 행해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이 되었다가 곧 안성군수가 되었다.
    1601년 조정에서 ≪주역구결 周易口訣≫의 교정에 참가하도록 불렀으나 병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이듬 해 청백리로 올려졌으나, 북인이 득세하는 것을 보고 1605년 관직을 버리고 연산으로 다시 내려갔다. 그 뒤에 익산군수를 지내고, 1610년(광해군 2) 회양·철원부사를 역임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 때 동생이 연좌되었다가 무혐의로 풀려나자, 관직을 버리고 연산에 은둔해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그 뒤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집권하자 75세의 나이에 장령으로 조정에 나갔으나, 곧이어 사업(司業)으로 옮겨 원자보도(元子輔導)의 임무를 겸하다가 병으로 다시 낙향했다.
    이듬 해 이괄(李适)의 난으로 왕이 공주로 파천해오자 길에 나와 어가를 맞이하였다. 난이 평정된 뒤 왕을 따라 서울로 와서 원자보도의 임무를 다시 맡고 상의원정(尙衣院正)으로 사업(司業)을 겸하였다. 집의(執義)를 거친 뒤 낙향하려고 사직하면서 13가지의 중요한 정사(政事)를 논하는 소를 올렸다.
    그 뒤 좌의정 윤방(尹昉), 이조판서 이정구(李廷龜) 등의 발의로 공조참의가 제수되어 원자의 강학을 겸하는 한편, 왕의 시강과 경연에 초치되기도 하였다. 1625년에 동지중추부사를 임명받았으나 이듬해 다시 사직해 행 호군(行護軍)의 산직(散職)으로 낙향한 뒤 이이·성혼(成渾)을 제향하는 황산서원(黃山書院)을 세웠다.
    같은 해 용양위부사직으로 옮기고, 1627년 정묘호란 때 양호호소사(兩湖號召使)로서 의병을 모아 공주로 온 세자를 호위하였다. 곧 화의가 이루어지자 모은 군사를 해산하고 강화도의 행궁(行宮)으로 가서 왕을 배알하고, 그 해 다시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한달 만에 다시 사직해 용양위부호군으로 낙향한 뒤 1630년에 가의대부로 올랐으나, 조정에 나가지 않고 줄곧 향리에 머물면서 학문과 교육에 전념하였다. 늦은 나이에 벼슬을 시작하고 과거를 거치지 않아 요직이 많지 않았지만, 인조반정 이후로는 서인의 영수격으로 영향력이 매우 컸다.
    인조 즉위 뒤에도 향리에서 보낸 날이 더 많았지만, 그의 영향력은 이이의 문인으로 줄곧 조정에서 활약한 이귀(李貴)와 함께 인조 초반의 정국을 서인 중심으로 안착시키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하였다. 학문과 교육으로 보낸 향리 생활에서는 줄곧 곁을 떠나지 않은 아들 집의 보필을 크게 받았다.
    그의 문인은 많은데,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이유태(李惟泰)·강석기(姜碩期)·장유(張維)·정홍명(鄭弘溟)·최명룡(崔命龍)·김경여(金慶餘)·이후원(李厚源)·조익(趙翼)·이시직(李時稷)·윤순거(尹舜擧)·이목(李楘)·윤원거(尹元擧)·최명길(崔鳴吉)·이상형(李尙馨)·송시영(宋時榮)·송국택(宋國澤)·이덕수(李德洙)·이경직(李景稷)·임의백(任義伯) 등 당대의 비중 높은 명사를 즐비하게 배출하였다. 아들 집도 문하이지만, 문인들 사이에는 그를 ‘노선생’, 아들을 ‘선생’으로 불렀다고 한다.
    학문적으로 송익필·이이·성혼 등의 영향을 함께 받았다. 하지만 예학(禮學) 분야는 송익필의 영향이 컸으며, 예학을 깊이 연구해 아들 집에게 계승시켜 조선 예학의 태두로 예학파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인조 즉위 뒤 서얼 출신이던 송익필이 아버지 사련(祀連)의 일로 환천(還賤 : 천인으로 되돌아감)되자 억울함을 풀어주기 위해 같은 문하의 서성(徐渻)·정엽(鄭曄) 등과 신변사원소(伸辨師寃疏)를 올렸다.
    또한, 이이와 성혼을 위해 서원을 세우고 1만 8000여 자에 달하는 이이의 행장을 짓기도 하였다. 스승 이이가 시작한 ≪소학집주≫를 1601년에 완성시켜 발문을 붙였는데, ≪소학≫에 대한 관심은 예학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저서로는 1583년 첫 저술인 ≪상례비요 喪禮備要≫ 4권을 비롯, ≪가례집람 家禮輯覽≫·≪전례문답 典禮問答≫·≪의례문해 疑禮問解≫ 등 예에 관한 것이 있고, ≪근사록석의 近思錄釋疑≫·≪경서변의 經書辨疑≫와 시문집을 모은 ≪사계선생전서≫가 전한다.
    1688년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연산의 돈암서원(遯巖書院)을 비롯해 안성의 도기서원(道基書院) 등 10개 서원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기념물 제47호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일원
       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 산7-4
       광산김씨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역 전경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7대조모 양천허씨 묘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7대조모 양천허씨 묘 전경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7대조모 양천허씨 묘비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7대조모 양천허씨 신묘비

    ▼ 양천허씨 묘 석물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전경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비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비 측면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비 후면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석물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 후경

    ▼ 사계 김장생(金長生)선생 묘소 일원 문화재 입간판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