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경기 고양]숙의윤씨, 인천옹주 묘
터잡이야초
2012. 8. 23. 10:00
숙의윤씨, 인천옹주 묘
숙의 윤씨 묘와 인천옹주 묘는 일부러 찾아간 것이 아니라 박세영, 박대립 묘를 보기위해 간 곳에 같은 묘역에
숙의윤씨 묘와 인천옹주 묘가 있고 재실이 숙의윤씨를 모신 곳이라는 것을 알고 매우 이상하게 생각하고 돌아와서
몇군데 자료를 보고 겨우 파악을 했다.
이곳에 숙의 윤씨 묘, 전의이씨 묘, 함양박씨 묘가 혼재해 있는 이유를 가계도를 그려서 보여드린다. 이런 별것도
아닌 것 하나를 그리기 위해 몇 시간을 소비하는 나를 보면서 그져 헛웃음만 나온다. 누가 시키면 아마도 그냥
때려치울 것이다..ㅎㅎ
참고해서 보시고 이곳에는 여러기의 의미있는 선현 묘가 있으니 한번 찾아가 보시길... 지금은 택지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어서 아마도 들어가기 쉽지 않을 것이다. 이 부근에 알려지지 않은 묘들도 몇군데 더 있으니 오금동을
꼭 한번 가보시길....
숙의윤씨(淑儀尹氏) 1368년(고려 공민왕 17)∼미상. 정종(定宗)의 후궁으로 대사헌(大司憲) 윤방언(尹邦彦)의 딸이다. 소생으로는 수도군(守道君) 이덕생(李德生), 임언군(林堰君) 이녹생(李祿生), 석보군(石保君) 이복생(李福生), 장천군(長川君) 이보생(李普生), 그리고 인천옹주(仁川翁主), 함안옹주(咸安翁主)가 있다. 그밖의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인천옹주(仁川翁主) 생졸년 미상.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定宗)의 서녀로 모친은 숙의윤씨(淑儀尹氏)이다. 행 부사(行府使) 이관식(李寬植)에게 하가하였다. 묘는 경기도 양주시 신릉동에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 |
|
|
◆ 정종(숙의윤씨)7남 수도군 신도비 및 묘 바로가기
|
미지정 |
숙의윤씨, 인천옹주 묘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산120-1 |
전주이씨,전의이씨 | | |
인천옹주묘(仁川翁主墓)
신도읍(神道邑) 오금리(梧琴里)에 위치해 있다. 묘(墓)는 쌍분(雙墳)이며 묘갈(墓碣)은 묘 단실개석(墓壇室蓋石)이 있는 오석(烏石)으로 폭 50cm 두께 30cm 높이 120cm이다. 1966년에 입석(立石)하였으며 비문(碑文)은 화산(花山) 권순명(權純命)이 짓고 여산(礪山) 안성용(安成鏞)이 썼다. 인천옹주(仁川翁主)는 조선 제 2대(代) 정종(定宗)의 일곱째딸이며, 어머니는 숙의(淑儀) 윤씨(尹氏)이다. 전의이씨(全義李氏) 부사(府使) 관식(貫植)에게 출가하였다. <고양군지에서 인용>
이관식(李寬植) 조선의 부마(駙馬), 본관은 전의(全義), 자(字)는 덕후(德厚), 호(號)는 양성재(養性齋). 대광보국 숭록대부 여천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驪川府元君) 양경공(良敬公) 민여익[閔汝翼:1360(공민왕 9)∼1431(세종 13)]의 외손(外孫)이며 호조 좌랑(戶曹佐郞), 황해도 경력(黃海道經歷), 사재감 정(司宰監正), 수원부사(水原府使), 소윤(少尹)을 지낸 이성간(李成幹)의 아들이다. 정종[定宗:1357(공민왕 06) ∼ 1419(세종 01),공정 대왕(恭靖大王)] 대왕 제7녀(女)인 인천 군주(仁川郡主)를 하가(下嫁)하여 상(尙)하니 부마 도위(駙馬都尉)가 되었다. 1451년(문종 01) 2월 온양 군사(溫陽郡事)로 나아갔으며, 1460년(세조 06) 2월 감호관(監護官)으로 있었다. 1468년(세조 14) 1월 용인 현감(龍仁縣監)으로 재직하였다. 관직(官職)은 행(行) 담양 부사(潭陽府使)에 이르렀다. 담양부사 시절에 고을의 폐단을 일거(一擧)에 일소(一掃)하고, 연름(捐름) 교유(敎儒)하여 향풍(鄕風)이 크게 일어나게 하였고, 풍속(風俗)을 교화(敎化)하고 선정(善政)을 받들어 폈는데, 그 선정(善政)에 감화(感化)되어 백성[향인(鄕人)]들이 관직의 임기(任期)가 차서 천직[遷職:환유(還宥)]하게 되었을 때 거사비(去思碑)를 세웠다. 전라도 담양(潭陽)의 월산서원(月山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이관식(李寬植)의 부인(夫人) 전주이씨(全州李氏)는 1431년(세종 13) 10월 인천 군주(仁川郡主)에 봉해졌고, 1872년(고종 09) 인천옹주(仁川翁主)로 개봉(改封)되었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淸選考, 선원보(璿源譜) <전의이씨 블로그에서 인용> | |
|
|
■ 인천옹주,전의이씨,함양박씨 가계도 |
|
|
|
|
|
|
|
|
|
|
|
|
정종 |
|
|
|
|
|
|
|
|
전의이씨 이성간 |
|
|
|
|
인천옹주 |
|
|
전의이씨 이관식 |
|
|
|
|
|
|
|
|
|
|
|
|
|
|
숙의윤씨 |
|
|
|
|
|
|
여흥민씨 |
|
|
|
|
|
|
|
|
|
|
|
|
|
|
|
|
女 |
|
|
|
|
|
|
|
|
|
|
|
|
|
|
|
|
|
|
|
|
|
|
|
|
|
박세영 |
|
박대립 |
|
|
|
|
|
|
|
|
|
|
함양박씨 박신동 |
|
|
|
박중검 |
|
|
|
박세무 |
|
|
|
|
|
|
|
|
|
|
|
|
|
|
|
|
|
|
|
박세옹 |
|
|
|
|
|
|
|
|
|
|
|
|
|
▼ 묘역 입구에 숙의윤씨 묘도비가 세워져 있다.. 우측은 함양박씨 세장비..
찾아간 날 비가 많이 내려 사진이 검게 나왔다.

▼ 숙의 해평윤씨 재실.. 봉오재

▼ 봉오재 우측으로 보이는 숙의 해평윤씨 묘

▼ 숙의 해평윤씨 묘

▼ 숙의 해평윤씨 묘역 조성에 대한 헌성비

▼ 정종과 숙의 해평윤씨의 女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표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비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 석물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 백호쪽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 후경

▼ 인천옹주 묘 윗쪽에는 이관식의 부친 이성간과 모친 여흥민씨의 단이 있다.

▼ 인천옹주와 이관식 묘역 윗쪽에 함양박씨 박세옹의 묘가 있다. 박세영의 아우이면서
인천옹주의 외손자가 된다.

▼ 박세옹의 묘비

▼ 박세옹 묘 전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