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남 하동)지리산 청학동 도인촌

터잡이야초 2017. 6. 17. 22:39


지리산 청학동 도인촌 


지리산 청학동은 수없이 많이 들어왔지만 막상 그곳을 방문한적은 한번도 없다. 이번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풍수문화답사학과에서 시행한 종강답사에 현장을 방문할 기회를 얻어 무척 기대하고 갔다. 현장에 도착하니 날이 어둑어둑해져 먼저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는데 이 산삼마루 식당의 주인은 우리 대학교에서 명리를 강의하고 계시는 엄교수님이 운영하는 곳이다. 여기서 나온 음식이 아주 예술이어서 먹기조차 아까울 정도였는데 이 집 안주인님 작품이시라 한다. 청학동의 밤을 지내면서 쏟아질듯한 별밤을 기대했지만 날이 흐려 기대한 만큼의 별은 보지 못했다. 

이튿날 청학동 도인촌을 방문했다. 조금은 낯설고 과거로 시간여행을 온듯한 느낌을 받았지만 그래도 우리의 피속에 남아있는 전통의식과 습관 등이 있어서인지 금새 적응을 하게 된다. 천제궁까지 들러보고 내려왔다. 청학동은 삼성궁을 주로 방문하는데 우리는 이번에 도인촌 천제궁을 방문했다. 

이런 깊숙한 산속에 마을을 만들고 전통을 지키며 사는 사람들도 특별나고 신기하지만, 이곳까지 뭘 볼게 있다고 하룻밤을 묵어가면서까지 찾아오는 우리같은 여행객들도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것이 여행이고 관광지라는 생각이다. 자기가 좋아하는 그 무엇을 위해 찾아가서 느끼고 즐기는 것, 그것이 여행이다.



지리산 청학동 도인촌 

 

청학동이라고 하면 예로부터 전해 오던 도인(道人)들의 이상향을 말한다. 전국의 여러 명산에는 청학동의 전설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청학동의 위치는 지리산에 있으며, 예로부터 천석(泉石)이 아름답고 청학이 서식하는 승경(勝景)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오늘날 현존하는 청학동은 지리산 청학동의 유래가 존재해 오던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지리산 삼신봉(三神峰) 동쪽 능선 아래 해발 800m 고지인 지리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마을이며 도인촌으로, 특정 종교의 신도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종교취락의 성격을 지닌다. 청학동의 가장 큰 특징은 주민들의 종교적 표상에서 잘 나타난다.

청학동 주민들은 모두 강대성(姜大成, 1898〜1954)이 창시한 유불선갱정유도교(儒佛仙更定儒道敎)라는 신흥종교를 믿고 있으며, 한국전쟁 이후에 이곳에 모여들어 마을을 형성하였다. 갱정유도는 단군계 신흥종교로 일명 일심교라고도 하는데, 그 정식 명칭은 ‘시운기화 유불선동서학 합일대도 대명다경 대길유도 갱정교화일심(時運氣和儒佛仙東西學合一大道大明多慶大吉儒道更定敎化一心)’이다. 남원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지리산 청학동에는 수련소를 설치해 놓았다.

갱정유도의 사회적 표상은 집단생활을 한다는 것 이외에도, 신도는 한복에 푸른 조끼를 입고 남자와 여자가 모두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늘어뜨린다는 점이다. 성인이 되면 옛 선비들처럼 상투를 틀고 큰 갓을 쓰고 도포를 입는다. 자녀들은 학교에 보내지 않고 서당에 보낸다. 특히, 현대문명에 대하여 매우 비판적이라는 점이 갱정유도의 큰 특징이다. 또한, 주색초(酒色草)를 엄격히 금하나, 때로는 허용하기도 한다.

<대한민국구석구석에서 인용>


[묵계 청학동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20세기 후반 주민들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마을의 문화 경관으로 인해 매스미디어에 노출되고, 때마침 문화 관광의 붐이 전국적으로 일어나면서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도인촌은 지리산의 대표적인 관광지의 하나로 떠올랐다. 그리하여 지방 자치체와 정부에 의해 마침내 이곳은 공식적으로 청학동이라 명명되고 사회적으로 널리 인지됨에 따라 청학동으로 고착되었다.

묵계리가 청학동으로 알려지게 된 최초의 계기는 1956년경 신흥 종교인 갱정유도인(更定儒道人)들이 외부에서 들어와 학동마을에 정주하면서부터였다. 집단 신앙촌의 독특한 경관 구성과 삶의 방식이 주위에 알려지고, 동시에 매스미디어가 도인촌의 장소 이미지를 복고적인 향수와 신비적인 공간으로 창출하는 데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이에 갱정유도인들도 도인에서 청학동 사람으로 정체성을 바꾸며, 1986년에 청학동으로 명명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니까 현대의 묵계리 청학동도인촌은, 지리산 청학동이라는 이상향의 장소 이미지로 포장되면서 관광지로서의 이상향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디지탈하동문화대전에서 발췌>

 

문화재지정 

없음

문화재명칭

지리산 청학동(도인촌)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관리자(연락처)

지리산 청학동탐방지원센터 (055-883-2609)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입석...천장지비가... 하늘이 감추고 땅이 숨겨놓은 가계...

▼ 지리산청학동 입구 ...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에 위치한 지인의 식당... 산삼마루... 실제 재배한 산삼 한뿌리씩 준다.ㅎ

▼ 산삼마루 식당에 차려진 저녁식사... 

▼ 산삼 한뿌리와 연꽃 반찬들... 

▼ 다음날 아침 일찍 찾은 도인촌 입구... 청학동탐방지원센터... 아직 문을 열기도 전에 우리팀이 찾았다.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오르는 길에 세워진 각자석...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 무릉도원 신령스런 기운 감도네...

▼ 삼신산 안내비... 내가 알기로는 지리산이 삼신산 중 하나라고 알고있었는데 여기 글 내용은 별도의 삼신산이 있다고...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풍경...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민가... 안에 어르신이 계신듯 해서 조용히 다녔다.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은 집을 새롭게 꾸미고 전통가옥으로 꾸며놓았다.

▼ 지리산청학동 전통서당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의 핵심건물인 천제당 정문...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천제궁 전경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천제궁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천제궁 옆 탑

▼ 지리산청학동 도인촌 청학동 기념비에서 인증샷...





♡♡야초 풍수상담 바로가기


◐야초 실용풍수지리학회 강의 일정 안내

강의 개설 장소

강좌명

강의 시간

강의 기간

 수강신청 기간

수강신청 연락처

수강신청바로가기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실용풍수지리

매주 목요일

10시~13시

16주

(1년과정)

 매년 학기 전

(2월,8월)

02- 3668-9890, 

9871 ~ 2

수강신청 바로가기

성북문화원

웰빙실용풍수

매주 목요일 

저녁 7시~8시30분

12주

 분기(2월,

5월,8월,11월)

02- 765-1611

수강신청 바로가기

월곡1동 주민센타

웰빙생활풍수

기초과정

매주 수요일 

10시~12시

12주

 매분기(3월,

6월,9월,12월)

02- 2241-5564

수강신청 바로가기

성북평생학습관

복을 부르는

생활풍수

매주 목요일 

14시~16시

12주

 매년 반기 전

(2월,8월)

02-2241-2420

수강신청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