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양주]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코로나19 덕분에 강의가 없어지고 시간이 많아져서 이 참에 답사를 하기로 맘먹고 가까운 곳 위주로 여러차례 다녀왔다. 그런데 답사기를 어떤 틀에 맞추어 올리려다보니 점점 늦춰져서 계속 밀리게 되었다. 이미 다녀왔던 곳 수백여 곳도 못올리고 넘어간게 많다. 게으른 탓도 있겠지만 점점 의욕이 떨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의 계획을 알려드린다. 다녀온 곳은 사진을 특별히 편집하지 않고 그대로 올릴 예정이며, 답사기도 생략하고 묘 주인공의 약력만 권위 있는 곳에서 다운 받아 올릴 예정이다. 즉 무덤 주인공 약력과 사진만 특별한 멘트없이 올릴 예정이니 양해 바랍니다.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경기도 남양주시 수락산(水落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원광이 창건한 사찰. 덕절(德寺)이라고도 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599년(진평왕 21) 원광(圓光)이 창건하여 수락사(水落寺)라 하였으며, 그 뒤 조선 중기까지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다. 1568년(선조 1)에 왕이 이 절에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을 짓고 편액(扁額)을 하사하여 흥덕사(興德寺)로 개칭하였는데, 민간에서 덕절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이 원당 때문이다. 1626년(인조 4) 다시 흥국사로 개명하였다. 1793년(정조 17) 왕실의 시주를 받아 기허(騎虛)가 대웅전을 중수하였다. 1818년(순조 18) 만월전(滿月殿)과 양로실(養老室)을 제외하고 모든 요사(寮舍)가 불타버린 뒤, 4년 만에 왕명에 의하여 기허가 대웅전 등 법당과 요사를 중건하였고, 1856년(철종 7) 은봉(隱峰)이 육면각(六面閣)을 중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870년(고종 7) 시왕전(十王殿)을 중수하였다. 1878년에 다시 불타버린 것을 용암(庸庵)이 중건하였으며, 1888년 제암(濟庵)이 법당과 요사를 중수하고 단청하였다. 이 절은 덕흥대원군의 묘소를 모신 이래 왕가(王家)에서 편액을 내리고 중수·중건을 몇 차례 실시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보였던 특별한 사찰이다. 특히, 1790년(정조 14)에는 봉은사(奉恩寺)·봉선사(奉先寺)·용주사(龍珠寺)·백련사(白蓮寺) 등과 함께 나라에서 임명하는 관리들이 머무르면서 왕실의 안녕을 비는 오규정소(五糾正所)의 한 사찰로 채택되었다. 경내에는 현재 정면 3칸, 측면 3칸인 팔작지붕의 대웅전과 영산전(靈山殿)·만월보전(滿月寶殿)·독성전(獨聖殿)·시왕전(十王殿)·산신전 등이 있다. 현존하는 문화재로는 남양주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보물 제1798호), 남양주 흥국사 대방(등록문화재 제471호),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남양주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일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3호), 남양주 흥국사 영산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6호) 등이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발췌> |
문화재지정 | 보물 제1798호 외 |
문화재명칭 | 흥국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외 |
소재지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2331 |
관리자(연락처) | 수락산 흥국사 |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일주문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대방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대방 안내문
▼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원당(願堂) 흥국사(興國寺) 대방에 걸린 현판... 흥선대원군 글씨라는 설이 있어 인장을 잘 살펴보니 석파(石坡)가 뚜렷하네요. 흥선대원군의 글씨...
▼ 흥국사(興國寺) 대방
▼ 흥국사(興國寺) 대방에서 올려다본 모습
▼ 흥국사(興國寺) 연혁.... 덕흥대원군 원당이라는 것과 약사여래불이 이곳에 있게된 사연을 기록하였다.
▼ 흥국사(興國寺) 대웅보전 안내판...
▼ 흥국사(興國寺) 대웅보전
▼ 흥국사(興國寺) 대웅보전에 모셔진 흥국사 대웅보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52호)
▼ 흥국사(興國寺) 영산전...
▼ 흥국사(興國寺) 영산전에 모셔진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16나한상 일괄(보물 제1798호)
▼ 흥국사(興國寺) 대웅보전과 영산전...
▼ 흥국사(興國寺) 시왕전 앞에 괘불대가 있다.
▼ 흥국사(興國寺) 나한전...
▼ 흥국사(興國寺) 범종각
▼ 범종각 앞에 탑이 있는데 주변이 어수선해서 보기 흉하다.
▼ 흥국사(興國寺) 성임당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 흥국사(興國寺) 성임당탑 안내판... 글자가 벗겨져 읽기 힘들다.
▼ 흥국사(興國寺) 성임당탑
▼ 흥국사(興國寺) 성임당탑 앞쪽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읽기는 힘들다.
▼ 흥국사(興國寺) 3층석탑... 요즘에 세운 건데 조각수준이 많이 떨어진다.
▼ 3층석탑에서 내려다본 흥국사 경내
▼ 흥국사(興國寺)에도 봄이 찾아왔다.
▼ 흥국사(興國寺) 만월보전과 단하각
▼ 흥국사(興國寺) 만월보전
▼ 흥국사(興國寺) 만월보전은 특이하게 만들어져 있다.
▼ 흥국사(興國寺) 만월보전 안에는 약사여래를 모셨다.
▼ 흥국사(興國寺) 만월보전 천장의 구조
▼ 흥국사(興國寺) 산신각으로 이용되는 단하각
▼ 흥국사(興國寺) 단하각에 모셔진 산신
▼ 흥국사(興國寺) 산신각 옆에 오래된 부도가 하나 있다.
▼ 흥국사(興國寺)는 덕릉 원당으로서 역할을 하는 절이라서 그런지 건물들에도 잡상이 있다.
▼ 흥국사(興國寺) 독성전...
▼ 흥국사(興國寺) 독성전 나반존자
▼ 독성은 천태산에서 홀로 선정을 닦아 깨우쳤다 하여 독성(獨聖)이라 불린 나반존자(那畔尊子)를 일컫는다.
▼ 흥국사(興國寺) 야외에 부처님을 모시고 나한상을 배치하였다.
▼ 흥국사(興國寺) 야외 부처님...
▼ 흥국사(興國寺) 전경...
▼ 흥국사(興國寺) 종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