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화성]남양홍씨 묘역(홍섬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4. 20. 10:00
남양홍씨 묘역(홍섬 묘)
영의정 홍언필의 아들 홍섬은 아버지에 이어 영의정이 된 부자영의정으로 이름난 남양홍씨 토홍계 가문이다. 홍형의 묘에서
발복을 받았다고들 한다. 홍섬의 묘는 홍언필의 묘에서 북서쪽으로 약500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이곳은 특별히 홍살문이
있는 재실공간이 있어서 다른 곳보다 조금 더 성스러워 보이는 곳이다.
이곳 남양홍씨들 묘는 조금 특이한 것이 묘가 모두 3기씩으로 삼묘형태를 이루고 있다. 모두 배위가 두분씩인지 조사를 해보
지는 않았지만 아무튼 특이한 가족 내력이 아닐 수 없다.
홍섬(洪暹)
1504년(연산군 10)∼1585년(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퇴지(退之), 호는 인재(忍齋). 영의정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1528년(중종 23) 사마시에 합격하고, 153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정언을 지낸 뒤 1535년 이조좌랑으로서 김안로(金安老)의 전횡을 탄핵하다가 그 일당인 허항(許沆)의 무고로 흥양에 유배, 1537년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3년 만에 석방되었다.
그뒤 수찬‧부제학‧경기도관찰사‧대사헌을 거쳐, 1552년(명종 7)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1558년 좌찬성으로 이조판서를 겸하고, 이듬해 대제학을 겸하게 되자 삼대임(三大任)을 겸할 수 없다 하여 좌찬성을 사임하였다.
1560년 이량(李樑)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사직당하였고, 1563년 판의금부사로 복직되어 예문관‧홍문관의 대제학을 지냈다.
1567년 예조판서가 되고, 이듬해 명종이 승하하고 선조가 즉위하자 원상(院相)으로 서정(庶政)을 처결하고 이어 우의정에 올랐으나 남곤(南袞)의 죄상을 탄핵하다 또다시 파직되었다.
1571년(선조 4) 좌의정이 되어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영의정에 승진되어 세번이나 중임하였다.
문장에 능하고 경서에 밝았으며 검소하였다. 흥양으로 유배당하였을 때 자신의 심경을 노래한 가사 〈원분가(寃憤歌)〉가 있으며, 저서로 《인재집》과 《인재잡록》이 있다.
남양의 안곡사(安谷祠)에 제향되었고, 시호는 경헌(景憲)이다.<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경기도 기념물 168호 남양홍씨 묘역(홍섬 묘)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30 남양홍씨(토홍계) 남양홍씨 묘역
<화성시 문화관광사이트에서 인용>
◆ 화성 남양홍씨 가계도 홍익생(洪益生) 홍귀해(洪貴海) 홍형(洪泂) 홍언필(洪彦弼) 홍섬(洪暹) 홍언광(洪彦光) 홍담(洪曇) 홍한(洪瀚) ▼ 홍섬 재실 곡좌제..
▼ 곡좌제 전경
▼ 곡좌제(曲座齊)의 뜻....
▼ 곡좌제 현판
▼ 홍섬 묘 안내판
▼ 홍섬 신도비각
▼ 홍섬 신도비
▼ 홍섬 묘 원경
▼ 홍섬 묘
▼ 홍섬 묘표
▼ 홍섬 배위 진주유씨 묘
▼ 홍섬 묘 석물
▼ 홍섬 묘 입수도두...
▼ 홍섬 묘 후경
▼ 홍섬 묘 아래에는 아들 홍기영 묘가 있다.
▼ 홍섬 아들 홍기영 묘
▼ 홍기영 묘표
▼ 홍기영 묘 석물
▼ 홍기영 묘비
▼ 홍기영 묘 후경
▼ 홍섬 재실 후경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화성]남양홍씨 묘역(홍한 묘) (0) 2012.04.23 [경기 화성]남양홍씨 묘역(홍담 묘) (0) 2012.04.21 [충남 공주]남이웅 묘 (0) 2012.04.19 [경기 화성]남양홍씨 묘역(홍언필 묘) (0) 2012.04.18 [경기 화성]남양홍씨 묘역(홍형 묘) (0) 201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