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념표석](종로117)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여행등산/기념표석답사 2014. 12. 24. 10:00
표 석 명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임시관리번호
종로117
설치연도
1987
표석문안
정암(靜庵)조광조(1482-1519) 선생이 살던 한양골 집터(돈의동).
표석위치(주소)
서울 종로구 낙원동 278-1(낙원상가 앞 횡단보도 중간)
찾아가는 길
5호선 종로3가역 5번 출구-->170m 북쪽 운형궁방향 낙원상가 끝지점-->횡단보도 중간 도로 중앙 화단 앞에 위치
관계되는 내용
조광조(趙光祖)선생
1482(성종 13)∼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菴). 한성 출생. 개국공신 온(溫)의 5대 손이며, 육(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충손(衷孫)이고, 아버지는 감찰 원강(元綱)이다. 어머니는 여흥 민씨(驪興閔氏)로 의(誼)의 딸이다.
17세 때 어천찰방(魚川察訪)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가, 무오사화로 화를 입고 희천에 유배 중이던 김굉필(金宏弼)에게 수학하였다. 학문은 ≪소학≫·≪근사록 近思錄≫ 등을 토대로 하여 이를 경전 연구에 응용했으며, 이 때부터 성리학 연구에 힘써 김종직(金宗直)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士林派)의 영수가 되었다.
1515년(중종 10) 조지서사지(造紙署司紙)라는 관직에 초임되었다.그 해 가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적·감찰·예조좌랑을 역임하게 되었고, 이 때부터 왕의 두터운 신임을 얻게 되었다. 그는 유교로써 정치와 교화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는 지치주의(至治主義)에 입각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역설하였다.
조광조의 도학정치에 대한 주창은 대단한 것이었고, 이러한 주창을 계기로 당시의 학풍은 변화되어갔으며, 뒤에 이황(李滉)·이이(李珥) 같은 학자가 탄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의 도학정치는 조선시대의 풍습과 사상을 유교식으로 바꾸어놓는 데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 즉, 조선시대에 일반서민들까지도 주자의 ≪가례 家禮≫를 지키게 되어 상례(喪禮)를 다하고 젊은 과부의 재가도 허락되지 않게 되었다.
그는 한편으로 천거시취제(薦擧試取制)인 현량과(賢良科)를 처음 실시하게 하여 김식(金湜)·안처겸(安處謙)·박훈(朴薰) 등 28인이 뽑혔으며, 이어 김정(金淨)·박상(朴尙)·이자(李耔)·김구(金絿)·기준(奇遵)·한충(韓忠) 등 소장학자들을 뽑아 요직에 안배하였다.
위훈삭제를 주장하여 마침내 2·3등 공신의 일부, 4등 공신 전원, 즉 전 공신의 4분의 3에 해당되는 76인의 훈작이 삭탈당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급진적인 개혁은 마침내 훈구파의 강한 반발을 야기시켰다.
훈구파 중 홍경주(洪景舟)·남곤(南袞)·심정(沈貞)은 경빈 박씨(敬嬪朴氏) 등 후궁을 움직여 왕에게 신진사류를 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궐 나뭇잎에 과일즙으로 ‘주초위왕(走肖爲王)’이라는 글자를 써 벌레가 파먹게 한 다음에 궁녀로 하여금 이를 따서 왕에게 바쳐 의심을 조장시키기도 하였다.
한편, 홍경주와 공조판서 김전(金詮), 예조판서 남곤, 우찬성 이장곤(李長坤), 호조판서 고형산(高荊山), 심정 등은 밤에 신무문(神武門)을 통해 비밀리에 왕을 만나고는 조광조 일파가 당파를 조직, 조정을 문란하게 하고 있다고 탄핵하였다. 이에 평소부터 신진사류를 비롯한 조광조의 도학정치와 과격한 언행에 염증을 느껴오던 왕은 훈구대신들의 탄핵을 받아들여 이를 시행하였다.이 때가 기묘년이었으므로 이 사건을 ‘기묘사화’라고 한다.
그 뒤 선조 초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발췌하여 편집>
▼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표석
▼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표석.. 도로 중앙에 위치
▼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표석
▼ 조광조(趙光祖)선생 살던 집 터 표석.. <다음 로드뷰에서 옮겨옴>
'여행등산 > 기념표석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념표석](종로119)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터 (0) 2015.01.05 [기념표석](종로118)조선건국동맹 터 (0) 2015.01.05 [기념표석](종로116)제용감 터(濟用監址) (0) 2014.12.24 [기념표석](종로115)제생원 터(濟生院址) (0) 2014.12.22 [기념표석](종로114)정철 선생 나신 곳(鄭澈 生家址) (0) 201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