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비가 오면 찾아가는 국립중앙박물관...여행등산/지난여행이야기 2011. 1. 7. 15:10
오늘도 토요일인데 비가 내려 딱히 갈 곳이 없었습니다.
모든 답사, 등산 행사는 취소되고...
이럴때면 의례히 찾는 곳이 박물관입니다.
오늘은 지난번 이집트 미이라 전시회가 있다고 들었는데
막상 시간이 안돼 못본 것을 보려고 채비를 하여 다녀왔습니다.
"파라오와 미라" 전이었는데... 사진을 못찍게하여 사진이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제대로 된 사진이 없는데... 그래도 몇 장 올려봅니다.
파라오와 미라 전은 이집트의 신화와 문화, 무덤문화에 대한
문화재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한국박물관100주년기념으로 세계4대문명발상지인 이집트 유물231점을모아
파라오와 미라전시가 4.28.~8.30.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열리고있다.
1부는 고대이집트의 신화에 등장하는 신과 내세관을 소개하고
2부는 절대권력자인 살아있는신의아들 파라오를 다루고
3부는 고대이집트인의 생활상과 관련유물전시
4부 영원에이르는길에서는 고대이집트인의 내세관을 보여주는 부장품과 미라를 전시.<펌>세계적인 문화재들은 모두 무덤이라는 사실을 아시지요?
이집트 피라미드... 인도의 타지마할.. 가까운 앙코르왓트까지..
이번에 조선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가능성이 있다는
뉴스를 보는 우리도 우리 무덤문화에 희망을 가져봅니다.
파라오와 미라 안내판....
파라오와 미라 전시실 입구...
국립중앙박물관 중앙계단에 새겨놓은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특별전시실 천장에 새겨진 벽화그림..
이집트 상형문자..
이집트 벽화를 전시실 벽에 연출해 놓은 것...
파라오와 미라 전 첫번째에 놓여있는 매의 모양을 한 호루스(하늘의 신)...
이 사진을 찍다가 걸려서 더이상의 사진은 찍지 못했다..ㅎㅎ
인터넷에서 <파라오와 미라 전>으로 검색하여 올라온 사진 중 몇장을 함께 올립니다.
목관과 미이라의 모습입니다.
인터넷에서 가져온 사진입니다. 설명은 생략하고... 사진만 올리겠습니다.
자주 가는 박물관이라 특별한 사진을 찍지 않아 별로 올릴만한게 없군요..
중앙통로를 찍어봤습니다.
천은사 괘불이 전시되어있어 사진에 담았습니다..
부처님 얼굴부위에 선이 좀 거슬립니다.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퍼온 테마 기획전 기사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340호 천은사 괘불” 테마전을 개최해 이번 전시는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과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평상시에는 보기 어려운 사찰 소장 문화재를 일반인에게 보여주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천은사泉隱寺측의 협조를 얻어 높이 약 9m의 괘불을 특별 공개했다. 조선시대의 괘불은 거대한 규모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전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괘불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국립중앙박물관은 미술관 불교회화실에는 높이 약 15m 가로 8m의 괘불 전시공간을 마련하여 매년 부처님 오신 날에 맞추어 특별 공개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06년 “법당 밖으로 나온 큰 불화, 청곡사 괘불” 이후 그 네 번째 전시이다.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 기슭에 위치한 천은사의 괘불은 석가모니불만을 등장시킨 가장 단순한 형식의 영산회상도로 1673년에 그려졌다. 이 시기에 제작된 대부분의 괘불은 본존을 비롯한 좌·우 협시와 권속들을 등장시키는 군도群圖형식이 일반적이다. 반면 천은사 괘불은 화면 가득히 석가모니불만을 단독으로 표현한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육계가 높게 솟아 있는 머리에는 반달 모양의 중앙계주와 기둥 모양의 정상계주가 있고, 얼굴과 목 부분에는 엷게 음영이 표현되어 있는 등, 17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수작이다.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나주 죽림사 괘불(1622년)은 항마촉지인을 맺은 석가모니불이 앉아 있는 좌상의 형식인 반면, 천은사 괘불은 서 있는 입상이란 점도 특징이다.국립중앙박물관을 갈때면 3층 도자기실과 불상실을 자주 찾는데 오늘은 3층 불상 중에
관음상이 인상에 남아 사진을 찍었습니다.
마침 문화행사의 일환으로 클레식 연주회(바이올리니스트 송원진, 피아니스트
송세진 자매)가 있어 아주 기분 좋은 연주회 듣고 왔습니다.
송원진 자매가 연주한 사라사테 찌고이네르바이젠을 장영주가 연주한 것으로 올립니다.
출처 : 천하장군문화유적답사회글쓴이 : 野草 원글보기메모 :'여행등산 > 지난여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탕춘대성과 북한산 비봉 산행... (0) 2011.01.07 [스크랩] 빗속을 뚫고 다녀온 태안, 안면도... (0) 2011.01.07 [스크랩] 고창 선운사와 학원농장 청보리밭 축제에 다녀왔습니다. (0) 2011.01.07 [스크랩] 만추에 찾은 선운사... (0) 2011.01.07 [스크랩] 경기전과 전주김씨 시조 묘.. (0) 201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