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세의 분석 방법과 유형풍수이야기/풍수게시판 2011. 2. 27. 20:11
(4) 산세의 분석 방법과 유형
집이나 건물을 지을 대지 주변을 둘러보면 산이 전혀 없는 평탄한 대지가 있는가 하면 반면에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산이 있는 경우도 있다. 산은 한 지역의 기운을 대표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므로 대지의 성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지 주변에 있는 산의 기운부터 분석해야 한다. 산의 기운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산과 그 주변에 있는 산의 배치 관계부터 파악해야 한다. 지세를 단계별로 파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산의 앞과 뒤를 구분한다. 산의 앞쪽은 생기가 모이는 공간이며, 산의 뒤쪽은 생기가 모이지 않으므로 산의 앞쪽을 선택한다.
2.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하여 품격과 체형, 그리고 오행산을 구분한다. 즉 산을 주인격·보조격·배반격으로 구분하는데, 주인격 산이 가장 좋고 보조격은 그 다음으로 좋다. 배반격은 좋지 않으므로 선택하지 않도록 한다. 산의 체형을 볼 때도 강체와 중체를 고르도록 하고, 약체는 가급적 선택하지 않도록 한다. 병체의 산은 절대 안 좋다. 또한 산의 형태를 오행산으로 분석하여 강한 기운이 있는 목산과 금산, 토산을 고르도록 한다. 그러나 기운이 분산되는 화산이나 수산은 피한다.
3. 산의 정상으로부터 연결되어 내려오는 중심적인 용(능선)을 찾는다.
4. 청룡과 백호, 안산을 살핀다. 이들 용호(청룡과 백호를 이름)가 앞쪽으로 면하고 있으면 생기를 만들어서 좋지만, 뒤쪽을 바라보고 있으면 배반하는 기운을 갖고 있으므로 좋지 않다.
5. 물이 흐르는 관계와 수구를 살핀다. 물은 곡선으로 흐르며 역수를 하는 곳이 명당이다. 수구는 좁은 것이 좋다.
6. 중심 용의 중간 부분에서 명당을 찾는다.
7. 방위를 분석하여, 주건물과 대문의 위치를 방위론을 참고하여 정한다.
명당은 산과 물의 기운이 음과 양의 조화를 이루는 지세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혈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의 사면을 아름다운 청룡과 백호, 주작, 현무가 감싸 주어야 한다. 현무는 명당에 맥을 연결하여 지기를 공급하는 산이 되며, 한 지세의 가장 중심이 되는 산이어서 주산이라고도 한다. 주산은 주인격 산으로 강체인 경우에는 강한 생기를 만들 수 있다. 청룡이나 백호, 안산 등은 주산의 기운을 보조하는 보조격 산이 된다.
◈ 형제간 다툼의 형세
청룡과 백호는 대개 명당 앞에서 한쪽이 길거나 짧아 서로 감싸는 형세를 이룬다. 지기가 좋은 곳은 이렇게 서로 감싸고 있는 사이로 명당에 모였던 물이 서서히 흘러나가며 명당에 조화로운 기운을 조성한다.
그러나 때로는 청룡과 백호가 서로 감싸 안지 못하고 마치 칼끝을 마주하듯이 얼굴을 맞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묘에서는 어김없이 형제간에 불화가 일고 끝내는 분쟁으로, 나아가 세상의 이목을 끄는 송사에까지 이르게 된다.
명당 안에 흐르는 물이 많을수록 그 집안은 천석 혹은 만석의 부자일 수 있다. 그러나 그 많은 재산도 청룡과 백호가 서로 싸우는 형세이면 머지않아 재산의 소진은 물론 후손들 간에 싸움마저 일어난다는 것을 지기가 웅변으로 말해준다.
◈ 우리나라의 방위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일본은 내청룡, 아메리카는 외청룡, 중국과 싱가포르는 내백호, 아프리카는 외백호, 호주는 안산이다.
우리나라는 우주의 간방(艮方:팔괘의 하나로 동북방을 가리킴)에 위치한다.
◈ 풍수와 선거
매우 뛰어난 풍수사는 후보자가 선택한 선거사무실 위치만 보고도 당락을 가늠한다. 더 나아가 후보자의 조상 묘를 보면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각종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는 심심찮게 풍수적 예언이 오가고 한방 터뜨리는 사람도 많은 게 사실이다.
선거사무실을 예로 들면 주변의 지세를 둘러보아 마사(馬砂:말 등처럼 생긴 산이나 언덕)가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말의 크기, 말의 형태를 정밀하게 살펴보면 선거 결과를 짐작할 수 있다고 본다. 나를 태우고 갈 놈인지, 아니면 나를 걷어차고 갈 놈인지, 나(사무실)에게 정을 주는 놈인지를 잘 살펴야 한다.
'풍수이야기 > 풍수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택가상학(陽宅家相學) (0) 2011.02.27 천간(天干), 지지(地支) 이해 (0) 2011.02.27 오행산(五行山) (0) 2011.02.27 [스크랩] 한국자연풍수지리연구소 풍수 및 명리 교육 안내 (0) 2011.02.22 백두대간(산림청) (0) 2011.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