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용인]평택임씨 중시조 임정(林整) 묘...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1. 5. 24. 10:00
임정(林整)
1356(공민왕 5)∼1413(태종 13). 고려말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운봉(雲峰), 호는 보덕(輔德). 태순(台順)의 아들이다.
향리로 입신하였고, 녹사·도염서영(都染署令)·낭장·도관좌랑(都官佐郎)을 거쳐 1385년(우왕 11)에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그뒤 판도정랑·이조정랑·의주목사를 거쳐 1393년(태조 2) 공조판서가 되었다가 서북면도순문찰리사(西北面都巡問察理使)·경상도도관찰출척사(慶尙道都觀察黜陟使) 등 외직을 역임하였다.
1401년(태종 1) 총제(摠制)로서 충청·경상·전라도의 조운체찰사(漕運體察使)가 되어 콩과 쌀을 전후 10만2000여석을 운송한 공으로 왕으로부터 말 한필을 하사받았다. 같은해 경상·전라·충청도 체찰사 겸 수군도절제사 조운염철사(漕運鹽鐵使)가 되어 3도의 주민을 동원하여 조선(漕船)을 건조하였는데, 경상도에서 111척, 전라도에서 80척, 충청도에서 60척을 각각 만들었다.
1403년 동북면도순문사 겸 병마도절제사가 되었고, 이듬해 중군도총제로 명나라에 가서 백성을 본국에 환속시켜준 데 대하여 사례를 하였다. 1407년 형조판서를 거쳐 동북면도순문찰리사 겸 영흥부윤이 되었다가, 1410년 다시 형조판서가 되어 명나라에 하정사(賀正使)로 다녀왔다.
이듬해 서북면순문사가 되었으나 평양부에서 종기가 나 4일 만에 죽었다. 사람됨이 근실하고 중후하였으며, 가는 곳마다 치적이 뛰어나 백성들이 기꺼이 복종하였다는 사관의 평을 받았다. 성종조에 청백리에 뽑혔으며, 1482년(성종 13)에 사패(賜牌)로 산 40리를 받았다. 시호는 공혜(恭惠)이다.<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 임정 묘 전경
평택임씨(平澤林氏)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간직한 씨족중의 하나다. 신라 때 당나라 8학자의 한 사람인 임팔급(林八及)이 정치적 화를 피해 신라로 망명하여 지금의 평택 임포리에 터를 잡아 살면서 시작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모든 임씨(林氏)들은 평택임씨에서 분파(分派)되었다.
평택임씨의 중시조인 임정의 묘소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묘봉3리에 있다.
임정은 태종 때 예조판서, 서북도병마절도사, 평양부윤을 지냈으며 성종 때에 청백리로 선정되었다.그의 묘는 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으로, 늙은 쥐가 밭으로 내려오는 형상이다.
▼ 아들 임인산 묘에서 바라본 임정 묘 ...늙은 쥐가 밭으로 내려오는 형상이다
▼ 임정 묘
▼ 임정 묘 전면
▼ 임정 묘 백호쪽 석물..
▼ 임정 묘 비석
▼ 임정 묘의 신, 구 비석
▼ 임정 묘의 특이한 묘 형태..
▼ 임정 묘 후경
▼ 임정 묘 후경... 앞쪽이 관쇄되어 있다..
▼ 임정 묘 동영상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용인]연안이씨 이숙기(李淑琦)선생 묘 (0) 2011.05.25 [경기 용인]우봉이씨 이유겸(李有謙) 및 이재(李縡)선생 묘 (0) 2011.05.25 [경기 용인]임인산(林仁山) 묘... 복종형(覆鐘形)의 돌혈(突穴) (0) 2011.05.22 [경기 용인]김대중 전대통령 선영.. 천선하강(天仙下降)형 (0) 2011.05.21 [충남 당진]이의무 묘와 신도비 (0) 2011.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