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성남]의령남씨 남효원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4. 27. 10:00
의령남씨 남효원 묘
남경문 묘역 옆에 여러 기의 후손 묘들이 산재해 있으나 경계병의 눈총으로 겨우 남효원 묘만 둘러보고 내려왔다.
그것도 후경을 찍으려고 했더니 묘 윗쪽으로는 안된다고 해서 그냥 내려왔다. 어린 군인들과 입씨름하면 뭐할까
싶어서... 같이간 후배는 열심히 윗쪽까지 올라가서 사진을 찍는다. 젊음이 좋아 보인다..ㅎㅎㅎ
남효원(南孝源)
1819년(순조 19)∼1890년(고종 27). 본관은 영양(英陽). 초명(初名)은 남치경(南致敬). 자는 가직(可直), 호는 영와(寧窩).
10세에 부친을 잃고 어머니의 명(命)으로 그의 족증조부(族曾祖父)인 봉하(峰下) 남서양(南舒陽)에게 취학하여 문사가 일취했고 그의 숙부 시암(時庵)의 훈도(薰陶)를 받았고 그의 장인 정헌(定軒) 이종상(李鍾祥)의 가르침을 받기도 했다.
1839년(헌종 5) 초시에는 뽑혔으나 성위(省圍)에서 물러났다.
사람됨이 외유내강하여 남을 대하는데 인자하고 자신을 다스리는데 엄정하였다. 또한 널리 여러 책들을 섭렵하였으며 특히 사서(四書),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주자서(朱子書) 및 퇴계서(退溪書)를 잠심(潛心)하여 연구하였다. 배우기를 청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들을 자세하게 가르쳤다.
시집으로 《영와문집(寧窩文集)》이 있다.
부인은 월성손씨(月城孫氏)로 손영헌(孫永獻)의 딸이다.
묘소는 초막동(草幕洞) 7대조 묘 아래에 신좌(辛坐)에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소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미지정
문화재명칭
의령남씨 남효원(南孝源) 묘
소재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 산3-8
관리자(연락처)
의령남씨 충경공 종회
남효원[1454~1521]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 자는 거인(居仁), 증참의(贈參議) 남염(南恬)의 아들이다. 1474년(성종 5) 사마시에 합격하여 1507년(중종 2)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고, 충청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배위(配位) 숙부인 청주한씨는 양혜공(襄惠公) 한백륜(韓伯倫)의 딸이다.
봉분의 형태는 숙부인(淑夫人) 청주한씨와의 원형 합장분이고, 높이는 1.7m, 남북 직경 5.6m, 둘레 19.8m이다. 봉분 주위에 활개를 둘러놓았다. 봉분 중앙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이 있고, 상석 좌우에 복두(幞頭)의 문인석 1쌍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문인석은 좌측의 경우 큰 눈에 뭉툭한 코, 一자로 다문 작은 입과 귀에는 직경 1㎝의 귓구멍을 표현하였다. 홀(笏)을 마주잡은 두 손은 손가락의 표현이 없으며, 관복은 길게 발목까지 내려와 있다.
묘표는 백색 화강암제의 비좌와 한 돌의 비신 및 관석 형태이다. 비좌는 상부에 전후 4엽, 좌우 1엽의 단판복련문을 조각하였다. 백색 대리석제의 비신은 앞면에만 비문이 있다. 세로 2줄로 ‘□□忠淸道水軍節度使南公之墓 淑夫人淸州韓氏之墓(□□충청도수군절도사남공지묘 숙부인청주한씨지묘)’라 새겨놓았는데, 표면에 풍우로 인한 마모와 결이 있다. 관석은 앞뒷면에 가득히 화려한 운문을 조각하였는데, 특히 뒷면에는 관석 상부 중앙에 직경 14.5㎝의 태양을 상징하는 원문이 특이하다. 비의 총 높이는 128㎝로, 비좌 높이 12㎝, 너비 71㎝, 두께 44㎝, 비신 높이 116㎝, 너비 56㎝, 두께 20㎝이다..
<디지탈성남문화대전에서 인용>
▼ 남재 묘역에서 바라본 남효원 묘..
▼ 남효원 묘 전경
▼ 남효원 묘표
▼ 남효원 묘비
▼ 남효원 묘 석물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화성]화성 반남박씨 묘역(박원도 묘) (0) 2012.05.02 [충남 천안]연평부원군 이시백 묘 (0) 2012.04.30 [경기 성남]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남경문(南景文) 묘 (0) 2012.04.26 [경기 성남]유계문 배위 창령성씨 (0) 2012.04.25 [경기 화성]홍진도 (0) 201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