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망우리공원묘지#3]시인 박인환(朴寅煥)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10. 17. 10:00


    시인 박인환(朴寅煥) 묘

     

    망우리 공원묘지를 처음 찾았을 때 입구에서 조금 걸어가는 곳에 박인환 연보비가 있었고 그 아래에 묘가 있다는 소리만 듣고 내려가볼 엄두가 안나 그냥 지나쳤었다. 한참 뒤에 동료들과 묘지답사를 하고 첫번째 간 묘가 바로 박인환 묘였다. 

    노래로 불려지고 많이 알려져 있어서 무척 친숙한 시인이라 그 묘역만 보았는데도 마음이 마구 뛰었다. 아마도 시인을 직접 만난 것 보다도 더 설렘이 있었던것 같다. 

    지금도 나는 목마와 숙녀라는 노래는 컴을 켤 때나 자동차를 운전할 때 수시로 듣고 있다. 박인희의 청량한 목소리로 듣는 목마와 숙녀는 중고등학교 때 듣던 그 마음과 지금의 마음이 거의 같다. 사실 내용을 심도있게 연구해 보지는 않았지만 대중가요답게 그냥 흥얼거리고 중얼중얼대며 입에 익숙해져 있다. 그 노래를 들을 때는 왠지 허전함과 쓸쓸함이 묻어나와 이맘때쯤에 제일 어울리는 노래가 아닌가 싶다.

    박인환 시인의 묘는 한동안은 찾기 어려웠는데 지금은 워낙 많이 소개가 되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래도 정보없이 찾아가면 어렵기는 매한가지... 전봇대 번호를 잘 기억하고 찾아가면 쉽게 갈 수 있다.


    박인환(朴寅煥) 


    1926년∼1956년. 시인. 본관은 밀양(密陽). 강원도 인제 출신. 박광선(朴光善)의 아들로, 모친은 함숙형(咸淑亨)이며, 4남2녀 중 장남이다.
    1939년 서울 덕수공립소학교를 졸업하고 경기공립중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41년 자퇴하고, 한성학교를 거쳐 1944년 황해도 재령의 명신중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해 평양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으나 8‧15광복으로 학업을 중단하였다.
    그뒤 상경하여 마리서사(茉莉書肆)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 김광균(金光均)‧이한직(李漢稷)‧김수영(金洙暎)‧김경린(金璟麟)‧오장환(吳章煥)‧김기림(金起林) 등과 친교를 맺기도 하였다.
    1948년 서점을 그만두면서 이정숙(李丁淑)과 혼인하였다. 그해에 자유신문사, 이듬해에 경향신문사에 입사하여 기자로 근무하기도 하였다.
    1949년에는 김병욱(金秉旭)‧김경린 등과 동인지 《신시론(新詩論)》을 발간하였으며, 1950년에는 김차영(金次榮)‧김규동(金奎東)‧이봉래(李奉來) 등과 피난지 부산에서 동인 ‘후반기(後半紀)’를 결성하여 모더니즘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51년에는 육군소속 종군작가단에 참여한 바 있고, 1955년에는 직장인 대한해운공사의 일 관계로 남해호(南海號) 사무장의 임무를 띠고 미국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955년 첫 시집 《박인환선시집(朴寅煥選詩集)》을 낸 뒤 이듬해에 심장마비로 죽었다. 그의 시작활동은 1946년에 시 〈거리〉를 《국제신보(國際新報)》에 발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어 1947년에는 시 〈남풍〉, 영화평론 〈아메리카 영화시론〉을 《신천지(新天地)》에, 1948년에는 시 〈지하실(地下室)〉을 《민성(民聲)》에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시작활동이 전개되었다.
    특히 1949년 김수영‧김경린‧양병식(梁秉植)‧임호권(林虎權) 등과 함께 낸 합동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은 광복 후 본격적인 시인들의 등장을 알려주는 신호가 되었다.
    1950년 후반기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밤의 미매장(未埋藏)〉‧〈목마와 숙녀〉 등을 발표하였는데, 이런 작품들은 도시문명의 우울과 불안을 감상적인 시풍으로 노래하여 주목을 끌었다.
    1955년에 발간된 《박인환선시집》에 그의 시작품이 망라되어 있으며 특히 〈목마와 숙녀〉는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서 우울과 고독 등 도시적 서정과 시대적 고뇌를 노래하고 있다.
    1956년 죽기 1주일 전에 쓰여진 〈세월이 가면〉은 노래로 만들어져 널리 불리기도 하였다.
    1976년 그의 20주기를 맞아 장남 박세형(朴世馨)이 《목마와 숙녀》를 간행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비지정

    문화재명칭

    시인 박인환(朴寅煥) 묘

    소재지

    서울시 중랑구 망우동 망우리공원묘지(묘지번호 No.102308)

    관리자(연락처)

    망우리묘지관리소


    ▼ 시인 박인환(朴寅煥) 묘 위치 (지도#3번) 

    3 박인환(朴寅煥) 102308 1926~1956, 시인  연보비아래 전주4번 좌측나무계단밑 좌측


    ▼ 시인 박인환 묘 위치  

    ▼ 시인 박인환 묘..왼편 연보비와 우측편 4번 전봇대를 기억해야 한다.

    ▼ 시인 박인환 연보비... 목마와 숙녀 한구절이 세겨져 있다.

    ▼ 시인 박인환 연보비 뒷면...

    ▼ 시인 박인환 묘를 찾아가는 기점.. 4번 전봇대

    ▼ 시인 박인환 묘를 찾아가는 길에서 바라본 연보비.. 이 길 아래로 내려간다.

    ▼ 시인 박인환 묘 전경

    ▼ 박인환 묘는 서향을 하고 있어 오전에 찾아가면 햇빛이 없어 사진이 흐릿하고 오후에는 햇빛이 과해 뿌옇다.

    ▼ 시인 박인환 묘비.. 

    ▼ 시인 박인환 묘비 뒷면

    ▼ 시인 박인환 묘

    ▼ 박인환 묘비번호

    ▼ 박인환 묘 후경

    ▼ 시인 박인환 묘 조안산... 멀리 보이는 산이 봉화산.. 봉황을 닮아 원래는 봉황산으로 불리웠다...

    ▼ 시인 박인환 묘 청룡쪽 후경은 나무에 가려 안보인다...

     

    망우리 공원묘지(총괄) 목록 바로가기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