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서울성곽일주(동대문~인왕산입구)(1)
    여행등산/지난여행이야기 2011. 1. 7. 13:53

    서울성곽완전종주...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기에 맘만 먹고 실행에 옮길 수 없었는데

    성탄절을 맞이하여 답사일행들과 의기투합을 하여 번개모임을 강행했습니다.

    아침 8시30분에 동대문 앞에서 일행들과 만났는데 모두 5명이 모여 출발했는데

    성곽답사를 하고있는 중간에 홀로 답사하시는 분을 만나 모두 6명이 함께 했습니다.

    최초 종주계획은 낙산으로 해서 북악,인왕,남산 순으로 종주를 하려 했었으나

    북악과 인왕산은 수시로 다녀온 곳이라 이번에는 우선 남산쪽의 성곽을 보고 싶어

    동대문에서 광희문, 남산쪽으로 방향을 돌려 성곽을 따라 걷기 시작했습니다.

    날씨가 상당히 흐려 걱정을 했으나 답사하기에는 좋은 날씨였습니다.

    사진으로 답사코스를 따라가며 설명해 보겠습니다.

     

    동대문... 흥인지문.. 오행에서 동쪽은 仁에 해당하고 남쪽은 禮에 해당...

    그래서 흥인문인데 동대문의 지세가 너무 낮아 비보하기 위해 산맥을 상징하는 갈지(之)자를

    넣어 興仁之門이라 했습니다... 8시30분에 정확히 출발...


    동대문에서 광희문까지는 성곽이 멸실되어 일반도로를 따라 걸어갔습니다...

    광희문은 흔히 시구문(시신을 내보내는 문)이라 했다고합니다. 한양의 남소문으로 지어졌지만

    위치는 거의 동쪽에 가깝습니다...

     

    광희문에서 장충체육관까지의 성곽은 가정집의 축대로 이용되거나 멸실이 되었습니다.

    옛부터 성곽은 능선을 따라 설치되는데 성곽위에 집을 짖는다는 것은 온당하지 못합니다.

    오히려 능선은 무덤터로 제격인데 장충동 일대 고급주택들은 성곽터 위에 집을 짖고

    희희낙낙하고 있더군요.

     

    장충체육관에서 타워호텔까지의 성곽은 잘 정비되어 있고 성곽의 박물관인양

    각 시대별 특징이 잘 나타나 있으며 세월의 흔적으로 풍만한 배를 드러내놓은 곳이 있는가하면

    곳곳에 문자가 발견되고 깨진 석축들이 많이 보이는 곳입니다.

    아래 사진은 세종4년에 축조된 성곽인데 이 시대의 성곽 특징은 하부에 대형 석재를 쌓고

    상부는 태조 때 쌓은 잔 석재를 재사용했다는 점입니다. 

     

    태조 5년(1396년)에 축조된 성곽... 비교적 잔석재로 쌓았습니다.


    숙종 30년(1704년)에 쌓은 성곽... 장방형으로 다듬어 벽돌 쌓듯이 빈틈없이 쌓은 성곽입니다.

     

    장충동 끝자락에 있는 타워호텔... 이곳을 가로질러 성곽이 이어졌으나 지금은 흔적조차

    없습니다. 타워호텔 테니스장을 보니 한창 성곽발굴작업을 하고 있었는데 머지않아

    성곽복원이 이뤄지길 기대해 봅니다.

     

    국립극장을 지나 남산순환도로로 접어들었습니다.

    이곳은 산중턱을 가로질러 통신시설쪽으로 연결되어 미개방지역입니다.

    할수없이 남산순환도로를 따라 정상까지 간 후 그곳부터 성곽답사를 계속했습니다.

    남산순환도로를 가로지르는 성곽...

     

    남산 팔각정 정상부근의 서울성곽...

    성곽위에 나무가 자라 성곽이 많이 망가졌지만 오히려 운치가 있어 보기에는 좋아보입니다..ㅎ

     

    남산에서 숭례문쪽으로 내려오면서 전망대에서 바라본 인왕산과 북악산...

    저기까지 가야된다는 생각에 풍경도 제대로 즐기질 못했습니다...ㅎㅎ

     

    남산 아래쪽에 있는 힐튼호텔 앞으로 이어지는 성곽...

    신,구의 조화가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고 있습니다...

     

    남대문.. 숭례문... 오행의 남쪽을 상징하는 禮.. 그래서 崇禮門입니다.

    그런데 왜 현판을 가로로 쓰지않고 세로로 썼을까?

    이는 관악산의 화기가 너무 쎄서 경복궁이 화기에 휩싸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을 누르려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숭례문 앞에 있는 연못(南池)도 같은 이치이구요...

    숭례문 공원을 조성하며 숭례문 우측으로 서울성곽의 기초를 재현해서 설치해 놓았더군요.

     

    숭례문에서 호암아트홀 쪽 상공회의소 건물 외곽담장은 일부 성곽을 복원해 놓았더군요.

    흔적이라도 있으니 성곽답사를 하는 사람으로써 여간 반갑지않았습니다.

    문화재에 대한 인식과 배려가 느껴지더군요.

     

    성곽은 배재학당을 지나 이화여고로 이어지는데 이곳은 거의 흔적이 보이지 않습니다.

    이화여고 안에 일부 축대로 사용하는 성곽의 잔해를 발견...

     

    경교장(김구 선생이 암살된 곳)을 지나 홍파동쪽을 오르니 이곳에 근대문화재로 지정된

    홍난파선생의 가옥이 있더군요. 가옥의 우측에 빌라들이 들어서 있는데 빌라를 서울성곽에

    바짝 붙여 지어 성곽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빌라의 1층을 주차장으로 이용하는데 주차장 뒤로 보이는 축대가 서울성곽입니다.


    구세군학교와 사직터널 위를 지나 한국사회과학도서관 앞에 도착했습니다.

    이곳은 성곽 밖으로 나가 성곽을 답사하다 어느 정도 올라가다보면 암문을 만나는데

    다시 성곽 안쪽으로 들어와 답사를 계속했습니다.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배어있는 인왕산초입의 역사탐방길 성곽...

     

    인왕산을 오르기 위해 역사탐방길을 가다가 성곽 밖을 보니 아주 멋진 풍광이 나타나더군요.

    새롭게 단장한 성곽 밖의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인왕산 입구... 멀리 산아래 왼쪽에 선바위도 보입니다...

    이곳 성곽은 모두 복원되어 답사객들도 신이 나서 성곽을 따라 열심히 올랐습니다..

    그런데 벌써 꽤 많은 거리를 걸어서인지 피로가 쌓이더군요... 몇몇이 다리 아픔을 호소하고...ㅎ

    이제부터 진짜 성곽답사가 기다리는데......


    <계속>

     

    조용필...황성옛터...

    출처 : 천하장군문화유적답사회
    글쓴이 : 野草 원글보기
    메모 :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