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 파주]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9. 2. 8. 09:00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파주에는 많은 수의 선현묘지가 있다. 그래서 묘지답사를 하는 사람들은 여러 차례 방문해야 어느 정도 답사를 마칠 수가 있는데 이번에 맘 먹고 파주 미답 묘지를 찾아 나섰다. 

    아침 일찍 찾은 곳은 전의이씨 이사관 묘역... 평지룡에 나지막한 묘역으로 현재까지는 잘 보존하고 있는데... 인근에 밭과 더불어 점차 민가가 침입해 들어오는 것으로 봐서 앞으로 묘역 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후손들이 꿋꿋하게 잘 관리하시길 바랄 뿐이다.

    얼마 전 김포 오룡골 이라는 마을에 5자등과한 남원윤씨들이 있다고 제 블로그에 올렸는데 이곳 이사관 아들 여섯명 모두가 과거급제를 했다고 하니 이곳은 6자등과인 셈인데... 왜 오자등과는 많이 알려졌는데 이곳 6자등과는 알려지지 않았을까? 자못 궁금해진다.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본관은 전의(全義). 할아버지는 판공주목사(判公州牧使) 이구직(李丘直)이며, 아버지는 중추원사 이정간(李貞幹)이며, 어머니는 순평군(順平君) 문달한(文達漢)의 딸로서 정경부인(貞敬夫人)이다.

    이사관은 처음에 중랑장에 보임되었다가 여러 자리를 거쳐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05년(태종 5) 대사헌의 잘못을 나무란 까닭에 좌천되었으나 잘못이 아니라는 공론이 일어 다시 관직에 올라 충주판관에 보임되었다. 1408년(태종 8) 지평으로 들어왔다가 호조정랑이 되었다.

    부평부사를 거쳐 1424년(세종 6) 판통례(判通禮)를 거쳐 1431년 첨지중추로 승진하고 이듬해 형조우참의겸지도관사가 되었다. 다시 호조참의와 병조참의로 옮겼다가 1434년 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고 1435년 한성부윤이 되었다. 1437년 경기관찰사로 나갔다가 다시 돌아와 1438년 한성부윤이 되었으나 그 해 병으로 사망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산36-1번지에 있다.

    6명의 아들인 이의장(李義長)·이예장(李禮長)·이지장(李智長)·이함장(李諴長)·이효장(李孝長)·이서장(李恕長)이 모두 과거에 급제하였기 때문에 이름이 더욱 높았다.

    후손인 전의군(全義君) 이덕량과 전산군(全山君) 이수남이 군(君)에 봉작됨에 따라 순충보조적덕공신(純忠補祚積德功臣) 영의정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에 추증되었다.

    <디지탈충주문화대전에서 인용>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1423(세종 5)∼1484(성종 15).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자충(子忠). 이구직(李丘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정간(李貞幹)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이다. 어머니는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한상경(韓尙敬)의 딸이며, 부인은 군사(君事, 군수) 송처공(宋處恭)의 딸이다.

    문음으로 출사(出仕)하고, 1455년(세조 1) 녹사(錄事)로서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세조 3) 녹사로서 친시문과에 정과로 급제하고 종부시주부(宗簿寺注簿)에 제수되었다.

    이후 1466년(세조 12)까지 형조좌랑(刑曹佐郞),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병조의 좌랑과 정랑, 황해도경차관(黃海道敬差官), 사예(司藝), 내섬시소윤(內贍寺少尹), 검상(檢詳) 등을 역임하였다.

    1467년 사인(舍人) 재직 중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이 난의 토벌을 총지휘하는 함경·강원·평안·황해 4도의 병마도총사(兵馬都摠使) 구성군(龜城君)이준(李浚)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선임되었다.

    같은 해 이 일에 기여한 공으로 우선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르면서 행대호군(行大護軍)에 제수되었으며, 다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면서 형조참판에 승직되었다.

    1467년 함흥부윤(咸興府尹)으로 파견되고, 이듬해 함길북도관찰사에 승직되었다. 1469년(예종 1)함길도의 남도와 북도를 통합함에 따라 함길도관찰사에 개수되고, 같은 해 전성군(全城君)으로 중앙으로 돌아왔다. 1470년(성종 1) 경상도관찰사로 다시 파견되었다.

    이후 성종대를 통해 한성부 좌윤(左尹), 대사헌, 이조와 호조의 참판(參判), 행첨지중추부사(行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했으며, 동지중추부사 재직 중 졸하였다. 시호는 양간(襄簡)이다. 묘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廣灘面) 마장원(馬場原)에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미지정

    문화재명칭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소재지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산36-1

    관리자(연락처)

    전의이씨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비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전경... 아랫쪽이 배위 청주한씨 묘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전경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청룡쪽 석물...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백호쪽 석물...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근경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청룡쪽 석물... 구 묘비가 2기 있다. 그런데 반대쪽에 또 새로 묘비를 세웠다.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백호쪽 석물... 신 묘비를 신도비 형태로 세웠다.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신 묘비... 구 묘비도 보기 괜찮은데 굳이 신 묘비를 세웠다. 전면 내용은 크게 달라진 내용이 없는데... 내용을 읽어보니 한글로 번역하여 세웠다. 묘비는 아들 이서장이 지었다.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이사관(李士寬) 묘 후경... 평지룡에 나즈막한 곳에 점혈하였다. 

    ▼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묘 전경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묘비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구 묘비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묘 석물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묘 백호쪽 석물 

    양간(襄簡)공 이서장(李恕長) 묘 후경 사진이 없어서 모친 상당부부인 한씨 묘 후경 사진을 올린다. 그 앞이 이서장 묘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