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원 강릉]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9. 3. 5. 09:56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강릉최씨 시조 묘가 강릉에 있는 줄 알았는데 시조 최흔봉의 12대손인 입향시조 최입지 묘가 강릉에 있다. 이곳은 가파른 입구를 오르면 맨 앞에 최입지 묘가 있고 그 뒤쪽으로 아무런 표식이 없는 묘 5기가 있는데 모두 가묘라고 한다. 

    이곳의 형국은 옥녀탄금형(玉女彈琴形)이라 하는데 금산리라는 지명도 거문고에서 따와 금산(琴山)이라 했다가, 나중에 강릉김씨들이 많이 산다하여 금산(金山)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예전 사진을 보니 안산에 길게 거문고를 상징하는 사격이 있던데 이번에 보니 잘 안보인다. 그런데 전에 없던 옥대사가 묘 바로 앞에 있다. 별 생각없이 이것이 거문고를 상징하는 옥대사이겠구나 하고 지나치려는데 너무나 깔끔한 일직선이 이상해 보였다. 자세히 살펴보니 이는 앞쪽에 고속도로를 내면서 인작으로 만들어 놓은 둑이었다. 

    그렇지만 이곳이 옥녀탄금형으로 불리는 데는 별 하자가 없을 듯 보인다. 묘역에 총 7기의 묘를 배치한 것도 거문고의 칠현을 상징한다고 하며 묘역의 남근석을 닮은 석물들도 옥녀의 안주를 바라는 뜻에서 한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앞쪽 정봉의 수려한 선인과 삼태봉을 이루는 형상은 현무의 옥녀와 함께 다정하게 마주 앉아 거문고를 즐기는 모습이다.

    시대가 바뀌고 지형이 변하는데도 큰 변화없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도 명당의 조건이 되는 셈이다. 이곳은 처음에는 조금 어수선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자꾸 보면 볼수록 균형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쪽 고속도로로 인해 많이 손상 입었을 묘역이 그나마 다행으로 감춰져 있으니 이것도 명당기운으로 표현해야 할 듯 하다.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 자는 양필(良弼). 호는 성묵당(誠默堂). 시조 최흔봉(崔欣奉)의 12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최군보(崔君甫), 아버지는 최릉(崔陵)이다. 강릉최씨 평장공파(平章公派)의 시조이다. 장남인 최안소(崔安沼)는 평장사(平章事) 강릉군, 차남인 최안빈(崔安瀕)은 전리판서(典理判書) 예성군(芮城君), 삼남(三男) 최안언(崔安彦)은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올랐다.

    1275년(충렬왕 1)에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그 선조는 원래 완산[전주]에 거주하였으나 최입지가 강릉군(江陵君)에 봉해지면서 본관이 강릉으로 바뀌었다.

    벼슬은 광정대부문하평리상호군(匡靖大夫門下平理上護軍)을 거쳐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에 올랐다. 후에 충익사공신(忠翊社功臣)으로 검교태보문하시랑(檢校太保門下侍郞)과 성찬화안사공신(成贊化安社功臣) 태사개부의동삼사상서우정승상주국(太師開府儀同三司尙書右政丞上柱國)에 증직되었다.

    말년에 혼란한 정국을 뒤로 하고 멀리 강릉 모산(母山)에 은거하였다. 최입지의 후손이 여러 대에 걸쳐 평장사(平章事)에 이르렀다 하여 최입지가 살던 곳인 현재의 강릉시 장현동 모산의 지명을 평장동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개국 후 수태사태상(守太師太常)으로 증직되었고, 세종 때에는 영의정(領議政)에 가증(加贈)되었다. 시호는 충숙(忠淑)이다.


    강릉최씨 흔봉계(江陵崔氏欣奉系)


    강원도 강릉에 본관을 둔 성씨.

    시조는 최흔봉(崔欣奉)으로 고려 태조의 부마가 되어 대경(大卿)을 지냈다.

    입향시조 최입지는 최흔봉의 12세손이며 산수재(山水齋) 최릉(崔陵)의 아들로 1275년(충렬왕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강릉부원군(江陵府院君)에 봉해짐으로써 후손들이 강릉을 관향으로 삼았다. 후손들이 평장사(平章事)를 연이어 하였다고 하여 평장최씨라고 하기도 한다.

    강원도 강릉시 장현동 모산에 세거지가 있다. 1920년대 말 조사보고에 의하면 장현동에 호수 약 40호, 인구 200여 명이 거주하였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장현동 일대는 동족촌락의 양상이 보이고 있다.

    최입지의 유허지는 강원도 강릉시 장현동 모산인데 이곳에는 최입지구지기적비(崔立之舊址紀蹟碑)가 있고,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소목길 18-60[금산리 467번지]에는 강릉최씨 평장공파대종회에서 관리하는 추원재(追遠齋)와 최입지 신도비(崔立之 神道碑)가 있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미지정

    문화재명칭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소재지

    강원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 산 35(네비:금산리 466)

    관리자(연락처)

    강릉최씨(江陵崔氏)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역에 세워진 시조 숭모비...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사당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입구...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오르는 계단... 묘 앞이 매우 가파르다.

    ▼ 계단을 오르면 만나는 최입지(崔立之) 묘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파노라마 사진...

    ▼ 최입지(崔立之) 묘 측경

    ▼ 최입지(崔立之) 묘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전경... 이곳은 옥녀탄금형이라 하는데...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위쪽으로 있는 묘는 가묘라고 한다.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비...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구 묘비

    ▼ 최입지(崔立之) 묘 측경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위쪽에 있는 묘... 총 7기의 묘는 거문고 칠현을 상징한다고 말한다.

    ▼ 강릉최씨(江陵崔氏) 중시조 최입지(崔立之) 묘 후경... 정봉 아래에 거문고를 상징하는 안산이 있었는데... 잘 안보이고... 바로 앞에 옥대사로 보이는 일자문성의 둑이 보인다.. 이것은 고속도로가 나면서 도로가 보이지 않도록 둑을 쌓은 것이다.

    ▼ 최근 이곳으로 고속도로가 나면서 지형도 흠집이 생겼지만 크게 손상되지 않고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 고속도로에서 바라본 일자문성...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