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의왕]채세영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1. 7. 13. 10:00
채세영선생 묘처럼 산 꼭대기에 묘소가 있는경우 네비에 묘소주소를 입력하면 안나오는 경우가
많다. 또는 엉뚱한 곳을 가르킨다. 이런때는 도로를 중심으로 네비를 설정해줘야 한다.
채세영선생 묘소 문화재주소 :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산12번지
네비로 찾을때 주소: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18-2번지 로 찾아가면 도로 끝까지 안내해준다.
거기서 내려서 조금 더 올라가면 바로 묘소가 나온다.
채세영(蔡世英)
1490년(성종 21)∼1568년(선조 2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영지(英之), 호는 임진당(任眞堂). 첨정 자연(子涓)의 아들이다.
1510년(중종 5) 진사시에 합격하고, 1517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19년 검열을 거쳐 춘추관기사관이 되었다. 이해 기묘사화가 일어나던 밤 가승지 김근사(金謹思)가 그의 붓을 빼앗아 조광조(趙光祖) 등의 죄를 대역죄인으로 고치려 들자, 사필(史筆)은 아무나 가지는 것이 아니라고 다시 빼앗는 기개를 보여 세상에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오히려 이 때문에 파직당하였다.
그뒤 1533년 세자시강원의 문학·필선·보덕, 집의를 역임한 뒤 홍문관의 응교·전한·직제학을 거쳐 1537년 대사성이 되었고, 1539년 형조참의에 이르렀다.
1545년(명종 즉위) 첨지중추부사로서 천추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고, 이어 호조참의·병조참의·우승지·경상도관찰사를 지냈다. 이어 1550년 호조참판으로 동지춘추관을 겸직하였고, 《중종실록》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이후 공조판서·호조판서를 지내고 우참찬을 거쳐 벼슬이 좌참찬에 이르렀다. 천문과 의약에 밝았고, 중국어에도 능하여 1548년 이문정시(吏文庭試)에 장원하기도 하였다.
그가 비록 처음에는 기묘사화로 청명(淸名)을 얻었으나 후일 높은 벼슬에 있으면서 내전에 친하려 든다는 비난을 듣기도 하였다.<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네비게이션주소 관리자(연락처) 의왕시향토유적 제2호 채세영선생 묘 및 신도비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산12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 18-2번지
▼ 채세영선생 묘소
▼ 채세영선생 묘 및 신도비 안내판.. 국가시설물 근처에 있다보니 문화재도 푸대접 받는다.
▼ 채세영선생 신도비... 귀부에 비신이 세로로 서있는 경우가 드물다
▼ 채세영선생 신도비 이수...
▼ 채세영선생 신도비 후면...
▼ 채세영선생 신도비 후면 이수...
▼ 채세영선생 신도비 측면...
▼ 채세영선생 묘소... 전순이 짧아 사진 찍기도 어렵다..
채세영(蔡世英)의 묘소는 의왕시 포일동에 있는데, 봉분은 부인 문화유씨와 쌍분 으로 되어있다.
묘역은 봉분을 중심으로 앞 중앙에 상석ㆍ향로석이 놓여 있고, 한 단 아래 가운데 장명등과 좌우에
문인석 2기가 서있다. 묘비 에는「貞夫人文化柳氏之墓 資憲大夫議政府左參贊兼知經ㆍ義禁府事
世子 賓客蔡公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묘소의 아래에는 후손들의 묘를 모아 납골묘로 만들었다.
아마도 통합정수장을 만들면서 후손들의 묘를 이장한듯하다.
▼ 채세영선생 묘 측면..
▼ 채세영선생 묘 장명등... 그 앞은 절벽이다..
▼ 채세영선생 묘비
▼ 채세영선생 묘 청룡쪽 석물
▼ 채세영선생 묘 백호쪽 석물
▼ 채세영선생 묘 백호쪽에서 바라본 모습
▼ 채세영선생 묘 측면 풍경...
▼ 채세영선생 묘 후경
▼ 채세영선생 묘 아래에는 후손들의 묘비와 납골묘가 있다
▼ 채세영선생 묘 입구에 파묘하고 남아있는 석물들... 음기가 강하게 느껴진다.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용인]보물찾기보다 어렵다는 이종무장군 묘, 쉽게 찾는 법 (0) 2011.07.15 [경기 의왕]세종의 4자, 임영대군 묘 (0) 2011.07.14 [경기 용인]조광조 묘 (0) 2011.07.12 [경기 성남]영의정 이경석 묘 (0) 2011.07.11 [경기 성남]덕양군 이기(德陽君 李岐) 묘역과 구천군 이수(龜川君 李睟) 묘 (0) 2011.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