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 고양]통계공 강회중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1. 25. 10:00

    통계공 강회중 묘

     

    고양시 한계미선생 묘를 가기위해 도상점검을 해보던 중 옆에 삼분 형태로 된 묘가 있어 확인해보니 

    통계공 묘로 나왔다. 고양시 관계자에게 확인해보니 강회백선생의 동생이라 해서 부랴부랴 답사에 

    포함하여 아침일찍 찾아갔다.

    한계미 선생의 묘는 열쇠로 굳게 잠겨져 있지만 강회중선생 묘는 접근하는데 별 문제가 없었다.

    요즘 시간이 부족하여 답사기를 제대로 기록하지 못하고 있는 점 양해를 구합니다.   

    강회중(姜淮仲)
    미상∼1421년(세종 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중보(仲父), 호는 통계(通溪).
    아버지는 공목공(恭穆公) 강시(姜蓍)이고, 강회백(姜淮伯)의 아우이다. 전처는 의령남씨(宜寧南氏)로 판사(判事) 남징(南徵)의 딸이고, 후처는 전주최씨(全州崔氏)로 통정대부(通政大夫) 성주지사(星州知事) 최영(崔寧)의 딸이다.
    1373년(공민왕 22) 군자시승(軍資寺丞)으로 처음 벼슬길에 올라 최영(崔瑩) 장군을 따라 탐라도를 토평(討平)하였고, 1379년(우왕 5) 전농시승(典農寺丞)이 되었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사사하였고, 순흥군 안종원(安宗源)과 판후덕부사 윤진(尹珍)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1382년(우왕 8) 진사문과에 합격하였다. 1685년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역임하고,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면서 두문동(杜門洞)에서 은거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사헌부집의(司憲府執議), 1392년 군자윤(軍資尹)이 되었고, 4월 이성계를 제거하려다 실패한 옥사에 연루되어 형과 함께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되자 이색과 함께 결당 모란(結黨謀亂)하였다는 죄로 본향에 안치되었다.
    1398년(태조 7) 4월 궁성을 쌓던 인부들을 왕명보다 먼저 놓아 보낸 죄로 외방에 귀양 보내졌다가, 10월에 좌우사간대부(左右司諫大夫)가 되었다. 1415년(태종 15) 신정을 하례하기 위해 중국에 다녀왔고, 1417년(태종 17) 함길도도순문사(咸吉道都巡問使)가 되었다가 무고죄로 갇혔으며, 1418년(태종 18)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겸 개성부유후(開城府留後),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역임하였다.
    이듬해에 한성부윤(漢城府尹)‧공조참판(工曹參判)‧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를 역임하였다. 1421년(세종 3) 4월 4일 총제(摠制)로 재직 중에 졸(卒)하여 미두(米豆) 20석이 내려졌다.
    저서로 《전해고문진보지(箋解古文眞寶誌)》가 있고, 묘는 고양군 벽제면 관산리 시묘골에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네비게이션주소 
     관리자(연락처) 

       미지정

      통계공 강회중 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산77-5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산77-5(353 용화사)산위로 올라감
       진주강씨


     

     

     

     

     

    강회중(姜淮仲) 묘(墓)

      벽제읍(碧蹄邑) 관산 1리(官山 1里) 산(山)87에 위치해  있다. 배군부인의녕남씨(配郡夫人 宜寧南氏)와 계배(繼配) 군부인전주최씨(郡夫人全州崔氏)의 삼위각묘(三位各墓)로  되어있다.
    봉분(封墳)의 둘레는 20cm로 장명등(長明燈)  1. 상석(床石) 1, 문인석(文人石)  2 무인석(武人石) 2기(基)가  있으며, 앞에는  1960년 9월에  입석(立石)한 갓형의  두부(頭部)로 된  두께 25cm, 폭 50 cm, 높이  140cm인 묘비(墓碑)가 있다. 뿐만 아니라,  1960년 9월에 건립된 이수( 首)와 구부(龜趺)를 갖춘  신도비(神道碑)가 있는데 그 규모는  두께 45cm, 폭  75cm,  높이 200cm이다. 비문(碑文)은 김윤동(金潤東)이 짓고  20대손(代孫)인 강석윤(姜錫允)이 썼다.
      강회중(姜淮仲)은 고려시대(高麗時代) 문인(文人)으로써 자(字)는  중부(仲父) 호(號)는 통계(通溪)로서 보문각(寶文閣)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하였다.
    <고양군지에서 인용>


     

     

     

     

     

     

     

     

     

     

     









    ▼ 통계공 강회중선생 재실..

     

    ▼ 진주강씨 통계공파 종회의 안내문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에 핀 상고대

    ▼ 통계공 강회중선생 신도비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역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 전경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 석물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비

    ▼ 통계공 강회중선생과 두분 배위의 묘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비... 좌,우,뒷면

     

     

    ▼ 통계공 강회중선생 묘 후경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