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 양주]문경공 휴암 백인걸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2. 9. 10. 10:00

    문경공 휴암 백인걸 묘

     

    양주 광적면에 가는 일이 있어 가는 길에 마침 인근에 있는 백인걸선생 묘를 가볼 심산으로 짬을 내서

    찾아갔는데... 이미 예전에 한번 찾아온 묘역이었다. 그런데 자료를 남겨놓지 않아 기억이 가물가물...

    아무도 없는 호젓한 묘역을 한가하게 답사하였다.

    넓은 묘역에 재실과 선생의 신도비와 묘, 첫번째 배위 묘가 있어 한바퀴 돌아보고 왔다.

    날씨도 좋아 사진이 잘 나왔겠지 했는데 노출에 문제가 있는지 사진이 별로 좋지 못하다.

    백인걸(白仁傑)
    1497년(연산군 3)∼1579년(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 서울에 거주하였다.
    왕자사부(王子師傅) 백익견(白益堅)의 아들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김안국(金安國)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宋麟壽)‧유희춘(柳希春)‧이이(李珥)‧성혼(成渾) 등 당대의 사림계 인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김식(金湜)이 성균관대사성이 되어 새로운 학풍이 일어나게 되자 구도(求道)의 뜻을 세워 학문에 전심하였으며, 특히 조광조를 존경하여 그의 집 옆에 집을 짓고 사사하였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비분강개하여 금강산에 들어가 지내다가 돌아와 1531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53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기묘사림의 일원으로 지목되어 오랫동안 성균관에 머물다가 이듬해에 예문관검열이 되었으며, 이때 예문관의 관리가 이조(吏曹)의 인사행정의 잘잘못을 기록하는 옛 관습을 복구하여 실행하였다.
    예조좌랑을 거쳐 남평현감(南平縣監)이 되었는데 이때 근무를 성실히 하였으며, 특히 학당(學堂)을 세우고 학장(學長)을 두어 자제들의 교육에 힘쓴 공로로 품계가 높아졌다.
    1541년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1545년(인종 1) 지평을 거쳐 호조정랑이 되었으며,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을 겸하였다. 같은해 명종 즉위 후 윤원형(尹元衡) 등이 대비 문정왕후(文定王后)를 등에 업고 권력을 오로지할 목적으로 을사사화를 일으켜 윤임(尹任)‧유관(柳灌) 등을 제거할 때, 헌납으로 있으면서 대비 밀지(密旨)의 부당함을 들어 극력 반대하다가 대비의 명으로 파직되고 옥에 갇혔으나 정순붕(鄭順朋)‧최보한(崔輔漢) 등의 도움을 받고 풀려났다.
    그뒤 1547년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이기(李芑) 등의 농권을 비난하는 양재(良才)의 벽서를 기화로 소윤(小尹)세력이 대윤(大尹)의 잔존세력과 사림계 인물들을 재차 축출할 때 연루되어 안변(安邊)에 유배당하였다.
    1551년 사면되어 고향에 돌아간 뒤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정주학(程朱學)의 서적들을 깊이 연구하였다.
    1565년(명종 20) 윤원형이 몰락하자 승문원교리로 등용되어 이듬해 사도시첨정(司䆃寺僉正)‧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을 지냈다.
    1567년 양주목사가 되었을 때는 공납의 폐단을 개혁하는 등의 치적을 쌓아 고을사람들이 기념비를 세웠다.
    선조가 즉위한 뒤 1568년(선조 1) 기대승(奇大升)의 건의로 특별히 뽑혀 대사간에 임명되었다. 같은해 공조참의‧대사헌을 역임하고 뒤에 병조참판이 되었다. 이밖에 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1568년 인순왕후(仁順王后)의 수렴청정에 반대하는 소를 올림으로써 오래지 않아 철렴(撤廉)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해 이후 죽을 때까지 조광조를 문묘에 배향할 것을 여러 번 요청하였다.
    그러나 선조초 선조가 그 아버지 덕흥군(德興君)을 추존하는 작업을 추진할 때에는 일반 신하들의 강력한 반대와는 달리 임금의 처지를 두둔하여 한때 사림들의 탄핵을 받고 지방으로 돌아갔다.
    조정에 분당의 조짐이 나타나자 이준경(李浚慶)의 의견을 좇아 당론을 잠재우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이로 인하여 선비들을 해하려 한다는 당시 사림들의 의심을 사서 1571년 파주로 퇴거하였다.
    그뒤 우참찬으로 징소되었으나 치도(治道)를 논하는 소를 올리고 나아가지 않았다.
    1579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있으면서 이이(李珥)와 함께 다시 동서분당의 폐단을 논하고 진정시킬 것을 주장하였으나 서인(西人)을 편든다는 공격을 받았다.
    그밖에도 국경의 상황을 논하여 군비를 닦을 것을 주장하는 등 국정에 대하여 많은 의견을 제시하였다.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초에는 많은 정치적 문제에 연관되었고 매우 연만하여 많은 시간을 파주에 퇴거하여 있었는데, 선조는 대사헌‧우참찬 등의 관직을 내려 부르거나 식량을 내리기도 하고, 1569년의 경우와 같이 직접 편지를 보내 부르는 파격적인 대우를 베풀기도 하였다.
    나이가 든 뒤에도 성리학에 대한 탐구를 열심히 하였으며 이이‧성혼 등과 더불어 학문을 익히고 토론하였다. 기묘사화 후 명종대까지 계속되는 훈구세력의 발호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하였으며, 특히 1545년 을사사화 때에는 일신을 돌보지 않고 윤원형의 음모에 대항한 것은 후대에 길이 칭송되었다.
    선조 때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청백리에 뽑혔다. 인조 때 충숙(忠肅)의 시호를 받았으나 뒤에 문경(文敬)으로 고쳐졌다. 파주의 파산서원(坡山書院)과 남평(南平)의 봉산서원(蓬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휴암집》이 전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경기도 지방문화제 제58호
       문경공 휴암 백인걸 묘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산26(재실 효촌리 180)
       수원백씨

     


     

     

     

     

     

     

     

     

     

     

    ▼ 문경공 휴암 백인걸 묘역 입구...

    ▼ 문경공 휴암 백인걸 재실..

    ▼ 문경공 휴암 백인걸 재실..

    ▼ 휴암 백인걸 묘역 안내도

    ▼ 휴암 백인걸 묘역 안내도

    ▼ 재실 측면...

    ▼ 문경공 휴암 백인걸 약전  

    ▼ 휴암 백인걸 신도비각

     

    ▼ 휴암 백인걸 묘 전경

    ▼ 휴암 백인걸 묘역

    ▼ 휴암 백인걸 묘 전경

    ▼ 휴암 백인걸 묘표.. 묘표에는 충숙공으로 나와있다..

    ▼ 휴암 백인걸 묘 석물

    ▼ 휴암 백인걸 묘 망주석과 문인석

    ▼ 휴암 백인걸 묘 전순 여기 부분...

    ▼ 휴암 백인걸 묘 측경

    ▼ 휴암 백인걸 묘 후경... 묘 앞에 있는 은사시나무가 눈을 거스리게 한다.

    ▼ 휴암 백인걸 묘 후경... 백호,청룡방향

     

    ▼ 휴암 백인걸 묘 뒷편에 있는 조부 백사수 선생 묘

    ▼ 백사수선생 묘

    ▼ 백사수선생 묘표

    ▼ 백사수선생 묘 석물

    ▼ 백사수선생 묘 입수도두... 백인걸 묘으로 들어오는 입수처이다.

    ▼ 입수룡이 에스자를 그리며 내룡하는데...양쪽 모두 앙와를 이뤄 좋지 못하다.

    ▼ 백사수선생 묘 후경

    ▼ 백사수선생 묘 후경.. 청룡쪽,백호쪽

    ▼ 백사수선생 묘 뒤에서 백인걸 묘 향선에 맞춰 사진을 찍었다.. 가운데 목성체에 맞춘 휴암 묘...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사초지가 올려있어 묘가 안보인다.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비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비 후면...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측경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입수도두.. 도두처를 봉긋 솟게 한 것 같다.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 후경

    ▼ 백인걸 전배위 평택임씨 묘에서 바라본 백인걸 묘역.. 소나무 숲 속에 들어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