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여주]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3. 6. 19. 10:00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김문근 묘를 답사하고 인근에 있는 안동김씨 묘를 본 후에 그냥 나왔는데 나중에 보니
그 윗쪽에 묘 한 기가 더 있어서 찾아보니 영의정 김창집 묘였다.
묘는 아주 단촐하게 있었는데 어디서 옮겨온건지 아무튼 망주석과 묘비만 있다.
부친과 함께 나란히 영의정에 올랐는데 특이하게도 부친과 같이 말년에 사사되는
비운을 맞았다. 아들 손자까지도 신임사화에 화를 당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묘비에는 특이한 글씨체로 비 전면에 훈민정음에 새겨진 성조점 마냥 여기저기
점이 찍혀 있습니다. 총탄이나 뭐가 부딪혀서 찍힌 점 같기도 하지만 점들이
고만고만하게 어떤 질서가 느껴진다.
김창집(金昌集)
1648(인조 26)∼1722(경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성(汝成), 호는 몽와(夢窩). 좌의정 상헌(尙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광찬(光燦)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수항(壽恒)이며, 어머니는 호조좌랑 나성두(羅星斗)의 딸이다. 창협(昌協)·창흡(昌翕)의 형이다. 이른바 노론 4대신으로 불린다.
1672년(현종 13)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675년 아버지 수항이 화를 입고 귀양가자 과거 응시를 미루었다. 1681년(숙종 7) 내시교관을 제수받았고, 1684년 공조좌랑으로서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언(正言)·병조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 때 아버지가 진도의 유배지에서 사사되자, 귀향해 장례를 치르고 영평(永平)의 산중에 은거하였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정국이 바뀌어 복관되고, 병조참의를 제수받았으나 사임하였다. 다시 동부승지·참의·대사간에 임명되었지만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그 뒤 철원부사를 제수받았는데, 이 때 큰 기근이 들고 도둑이 들끓어 민정이 소란하자 관군을 이끌고 토평하였다. 강화유수·예조참판·개성유수 등을 역임하고, 호조·이조·형조의 판서를 지냈다. 1705년 지돈녕부사를 거쳐 이듬 해 한성부판윤·우의정, 이어서 좌의정에까지 이르렀다. 1712년에는 사은사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 해 귀국, 1717년 영의정에 올랐다.
노론으로서 숙종 말년 세자의 대리청정을 주장하다가 소론의 탄핵을 받았다. 숙종이 죽은 뒤 영의정으로 원상(院相 : 나이어린 왕을 보필하던 재상급의 원로 관료)이 되어 온갖 정사를 도맡았다. 경종이 즉위해 34세가 되도록 병약하고 자녀가 없자, 후계자 선정 문제로 노론·소론이 대립하였다.
이 때 영중추부사 이이명(李頤命), 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좌의정 이건명(李健命) 등과 함께 연잉군(延礽君 : 뒤에 영조)을 왕세자로 세우기로 상의해, 김대비(金大妃 : 숙종의 계비)의 후원을 얻었다. 이에 경종의 비 어씨와 아버지 어유구(魚有龜), 사직(司直) 유봉휘(柳鳳輝) 등의 격렬한 반대가 있었으나 결국 실행하였다.
1721년(경종 1) 다시 왕세제의 대리청정을 상소해, 처음에 경종은 대소 정사를 세제에게 맡길 것을 허락했으나 소론의 격렬한 반대로 실패하였다. 수개월 후 소론의 극렬한 탄핵으로 노론이 축출되고 소론 일색의 정국이 되었다. 곧 이어 소론의 김일경(金一鏡)·목호룡(睦虎龍) 등이 노론의 반역 도모를 무고해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거제도에 위리안치되었다가 이듬 해 성주에서 사사되었다.
1724년 영조 즉위 후 관작이 복구되었으며, 영조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영조 때 과천에 사충서원(四忠書院)을 세워 이이명·조태채·이건명과 함께 배향했으며, 거제의 반곡서원(盤谷書院)에도 제향되었다. 저술로는 ≪국조자경편 國朝自警編≫·≪몽와집≫ 등이 있다. 시호는 충헌(忠獻)이다.<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미지정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안동김씨 **안동김씨 김상현,김수항,김창집 가계도 김상현 김광찬 김수항
(3남)김창집
(1남)김제겸 김성행
(1남)김이장(1남) 아들 충민공 김제겸 묘 바로가기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초봄에 방문했다.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비... 묘비에 찍힌 점들이 성조점 비슷하다..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망주석...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입수도두...
▼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묘 후경...
◐(정규과정)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실용풍수지리 모집(매주 목요일, 10시~13시)
♤수강신청 접수 중(매년 2월, 8월)
☎동방대학원대학교 평생교육원 : 02- 3668-9890, 9871 ~ 2
◐(야간강의)웰빙실용풍수 수강생 수시 모집(매주 목요일, 저녁 7시~8시30분)
☎성북문화원 : 02- 765-1611
◐(주간강의)웰빙생활풍수 기초과정 수강생 모집(매주 수요일, 10시~12시)
☎월곡1동 주민센타 : 02- 2241-5564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여주]원호(元豪)장군 묘 (0) 2013.06.22 [경기 여주]신임사화 노론 안동김씨 세장지(김제겸,김성행,김이장) (0) 2013.06.20 [경기 여주]영은부원군 김문근(金汶根)묘-철종의 국구 (0) 2013.05.24 [경기 여주]이계전(李季甸) 묘 (0) 2013.05.22 [경기 여주]이완(李浣)장군 묘 (0) 201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