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념표석](종로31)보성사 터(普成社址)여행등산/기념표석답사 2014. 11. 19. 09:00
표 석 명
보성사 터(普成社址)
임시관리번호
종로31
설치연도
1993
표석문안
1919년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와 <조선독립신문>을 비밀리에 인쇄한 천도교의 보성사가 있던 곳이다.
표석위치(주소)
서울 종로구 수송동 80-7
찾아가는 길
3호선 안국역 6번 출구--> 125m 안국동사거리 지나-->동일빌딩과 한국치과 사이 골목-->190m 수송공원 내 위치
관계되는 내용
보성사(普成社)
1910년 서울에 설립되었던 인쇄소.
당시 천도교에서는 중앙교당에 창신사(彰新社)를 설립하고 천도교관계 서적 및 교회기관지인 ≪천도교월보 天道敎月報≫를 간행하였다. 1910년 말 천도교에서 보성학원(普成學院)의 경영권을 일체 인수하면서 따라 동교(同校)에 속해 있던 보성사인쇄소를 창신사와 병합하고 그 명칭을 그대로 보성사라 하였다.
이 보성사는 최남선(崔南善)이 설립한 광문회(光文會)의 신문관(新文館)과 더불어 당시 인쇄계를 주도하였다. 보성사는 비단 ≪천도교월보≫나 교회서적 및 학교교과서의 인쇄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한국출판문화 향상에도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한때 보성사의 적자가 누적되자 교회간부는 손병희(孫秉熙)에게 보성사의 폐쇄를 건의한 적도 있었다.
보성사의 업적 중 가장 큰 것은 1919년 3·1운동 때 발포된 독립선언서의 인쇄였다. 1919년 2월 최남선이 기초한 독립선언서가 신문관에서 조판된 뒤 보성사로 넘겨졌다. 그달 27일 사장 이종일(李鍾一)은 공장감독 김홍규(金弘奎), 총무 장효근(張孝根)과 같이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극비리에 인쇄를 완료하였다.
총 2만 1000매의 선언서를 성공적으로 인쇄한 후 이종일의 집에 가져다 놓았다. 그리고 이 선언서를 28일 각지에 보냄으로써 3월 1일 독립선언식을 거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독립선언서를 인쇄하던 도중 인쇄소의 작업소리를 듣고 음흉하기로 소문난 형사 신승희(申勝熙)가 현장을 목격하였다.
이에 놀란 이종일이 형사의 옷자락을 잡고 밖으로 끌고 나와 뒤에 손병희로부터 받은 5,000원을 주며 눈감아주기를 간청해서 위기를 넘겼다.
또 10시가 넘어 인쇄 완료된 선언서를 손수레에 싣고 교당으로 가는 도중 일본경찰의 검문을 받았으나, 손수레의 짐은 인쇄된 족보라고 속여 무사히 옮길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이, 보성사에서 인쇄된 독립선언서가 무사히 은닉됨으로써 3·1운동이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
종로구청 인근에 있는 수송공원은 도심 한복판에 멋드러지게 자리잡은 작은 공원이다. 인근에 목은 이색선생의 영당이 있고 한산이씨 종중사무실이 있는 것으로 봐 목은선생과 연관이 있을성 싶다. 금싸라기 땅을 공원으로 꾸몄으니 감사드려야 할듯... 아무튼 이곳에는 표석이 여러개가 한꺼번에 있다. 그만큼 이곳이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곳이라는 반증이다. 이곳에 이종일선생의 동상이 있다. 난 이종일선생이 누구인지 전혀 모르다가 이번에 보성사의 사장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목숨을 걸고 3.1독립선언서를 인쇄한 분이다. 이종일선생 댁이 있었던 천도교 수운회관 인근에서 독립선언서를 배부한 것도 그와 관련이 있는 유적지이다.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은 조계사 후문에서 나오면 바로 보인다.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은 조계사 후문에서 연합뉴스 쪽으로 난 계단 옆에 있다.
▼ 보성사 터(普成社址) 표석 위치
'여행등산 > 기념표석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념표석](종로33)3․1운동 유적지 ; 유심사 터 (三․一運動 遺跡地) ; 惟心社址) (0) 2014.11.20 [기념표석](종로32)3․1독립운동기념터;보신각앞 (獨立運動紀念址)(普信閣) (0) 2014.11.19 [기념표석](종로30)독립선언문 배부 터(獨立宣言文配付址) (0) 2014.11.18 [기념표석](종로29)도정궁터(都正宮址) (0) 2014.11.18 [기념표석](종로28)도염서 터(都染署址) (0) 2014.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