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 가평] 3대 대제학 연안이씨 이정구 묘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08. 6. 25. 23:36

    지난 일요일에는 가평지역의 선현묘지를 답사했습니다. 그중에 대표적인 묘로 3대 대제학을 이룬

    연안이씨 이정구선생과 아들, 손자의 묘입니다.

     

    이정구 묘역 전경



     

    가평군 상면 태봉리 산11번지에 있는 월사 이정구(1564~1635)의 묘소는 1984년에 경기도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현재 묘역에는 그의 아들인 이명한(李明漢 1595~1645), 손자인 이일상

    (1612~1666),  후손인 이광수 등의 묘가 함께 조성되어 있습니다.

     

    연안이씨 3세비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정구 선생의 묘 입구에는 연안이씨 삼세비각이 있습니다.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정구, 이 명한, 이 일상의 신도비 입니다. 역사상 3대(三代) 대제학을 배출한 집안은 연안이씨

    [월사(月沙)집]의 이정구(李廷龜), 이명한(李明漢), 이일상(李一相)와 광산김씨 [사계(沙溪)집]의

    김만기(金萬基), 김진규(金鎭圭), 김양택(金陽澤)이 있으며, 달성서씨 [약봉(藥峰)집]의 서유신

    (徐有臣), 서영보(徐榮輔), 서기순(徐箕淳)이 있으며, 전주이씨 [백강(白江)집]의 이민서(李敏서),

    이관명(李觀命). 이휘지(李徽之) 등 네 집 뿐 입니다. 

     

    연안이씨 효자, 열녀문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묘역 입구에는 열녀,효자문이 자리하고, 월사집 목판을 보관하는 장판각이 있습니다. 월사집 목판은

    인조14 년(1636)에 월사의 손자인 이익상이 판각한 것으로 현재는 모두 1,334판이 보존, 관리되고

    있습니다.

     

    월사 이정구 선생 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장유(張維), 이식(李植), 신흠(申欽)과 함께 조선 중기 문장 4대가의 한 사람으로 꼽혔던 월사 이정구

    선생의 묘역은 풍수적으로 완벽한 길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월사 이정구 선생 묘역... 주산이 3개의 봉우리로 되어있어 삼태봉이라 한다.. 맨 위가 이정구

    선생 아들 이명한 묘, 두번째가 손자 이일상 묘, 세번째가 이정구 선생 묘다. 맨 밑에 있는 묘는

    이광수 묘인데 후손인 것 같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삼태봉으로 둘러쳐진 주산을 배경으로 길게 내려온 생룡에는 4기의 무덤이 있는데 가장 위에 자리잡은

    묘는 월사 이정구의 묘가 아니고 이정구의 아들인 이명한의 묘입니다.  아버지의 묘보다 위에 있으니

    흔히 역장(逆葬)이라 부르는 형태인 것이죠.

     

    이정구 선생 아들 이명한 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정구 선생 손자 이일상 묘....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묘는 이정구의 손자인 이일상의 묘고 세번째 묘가 이정구의 묘입니다.

     

    이정구 선생 묘비와 석물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정구의 자는 성징이고 월사는 그의 호이며, 본관은 연안이다. 그는 15세에 진사에 합격하였고

    선조 23년(1590)에 27세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에 등용되었고, 임진왜란때에는

    명과의 대외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국가적 난국을 타개하는 데에 큰 공을 세웠으며 이후

    호조판서, 예조판서, 좌의정, 우의정을 거치면서 순탄한 관료생활로 일생을 마쳤다. 한문학의

    대가로 서예에도 뛰어나며 조선중기 4대문장가 중의 한사람으로 시호는 문충이다.  <펌>

     

    이정구 선생 묘 후경... 앞쪽 안산에 맞춰 향을 잡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들 이명한 묘 후경... 안산 사이 골을 향해 향을 잡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묘역의 뒤쪽에는 혈증으로 여러 개의 바위가 귀석으로 드러나 있으며 청룡과 백호도 혈을 감싸 안아

    주고 있습니다. 안산, 조산도 혈판의 높이와 비슷하여 서로 다정히 조응하고 안산 뒤쪽에 관성(官星)이

    있어 힘을 더욱 보태고 있으며, 사신사가 명당을 둘러싸 아늑한 기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이명한 묘의 석물과 청룡봉우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사신사의 위치와 전반적인 국세로 보아 청룡과 백호의 봉우리를 연하는 십자혈로

    점혈을 하지 않은 것이 궁금할 뿐입니다. 이곳은 풍수적으로 여러가지를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곳입니다.

    묘역도 잘 관리되고 있더군요..  많은 것을 느낀 답사였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