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
[경기 성남]안침(安琛)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6. 19. 09:00
안침(安琛) 묘 오랜 전에 답사한 묘들이 임시저장으로 해놓고 잊고 지냈었는데 지금 다음에서 임시저장을 없애려고 하다보니 오래된 자료들을 그냥 놔두기에는 부담되서 꺼내 글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막상 올리려니 기억도 가물가물하고 자료도 오류가 보이고 해서 글은 가급적 생략하고 사진 위주로 올리니 이해 바란다. 안침(安琛) 오래 전에 답사를 한 묘역인데 못 보고 묘만 보고 왔다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자진(子珍). 호는 죽제(竹齊). 안종약(安宗約)의 증손이고, 증이조참판 안구(安玖)의 손자이며, 부윤 안지귀(安知歸)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형조참판 박이창(朴以昌)의 딸이고, 부인은 광주이씨 이수철(李守哲)의 딸이다. 예조참의를 지낸 안호(安瑚)가 형이다. 1462년(세조 8)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고,..
-
[경기 성남]금토동 안동권씨(安東權氏) 묘(권괄,권우,권굉)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6. 13. 10:00
금토동 안말 안동권씨(安東權氏) 세거지(世居地) 자료를 보니 2012년에 다녀온 곳인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자료를 뒤져보니 성남시 디지털문화대전에 자세히 나와있어 그 자료를 옮기고 사진은 예전 사진을 그대로 올린다. 자료를 보다보니 권괄, 권우 묘역은 같은 곳이고, 권굉 묘는 앞쪽에 있는 다른 능선으로 보인다. 금토동 안말 안동권씨(安東權氏) 세거지(世居地)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안말[내둔토리(內屯土里)]은 조선 초의 대학자 권근(權近)의 손자이고 권제(權踶)[1387~1445]의 아들인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1419~1472]이 무진정(無盡亭)을 짓고 유람하던 곳이었다. 권반이 세조 12년(1466) 예조참판 겸 경기도관찰사를 겸직할 때 장자인 충훈부 도사 권괄(權佸)이 죽자 장지를 구하지 못..
-
[경기 성남]남원윤씨 묘역(예조판서 윤돈, 윤극신, 윤엽)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6. 8. 16:04
남원윤씨 묘역(예조판서 윤돈, 윤극신, 윤엽) 언제 다녀왔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한데 임시저장으로 해놓아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한창 묘지답사를 진행할 때 판교 일대를 다녀온 것으로 기억한다. 다음에서 블로그 임시저장을 없앤다는 말이 있어 자료가 없어지기 전에 서둘러 글을 올리니 조금 미흡하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금토동 남원윤씨 묘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에 있는 남원윤씨의 묘역. 조선시대 이 지역에 세거하였던 남원윤씨의 선영으로, 조선 전기의 문신 윤극신(尹克新)과 그의 아들 윤돈(尹暾)과 윤엽(尹曄), 윤돈의 아들 윤형철 등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다. 이외에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 활동을 했던 윤재옥의 묘가 있다. 남원윤씨 묘역은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산44[달래내로221번길 16] 일원 능안골에 ..
-
[경기 남양주]찬성공 한장손(贊成公 韓長孫)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6. 2. 16:19
찬성공 한장손(贊成公 韓長孫) 묘 아주 오래 전에 영의정 한효원 신도비 및 묘를 답사하면서 아래쪽에 있는 묘들을 사진 찍어 왔는데 나중에 살펴보니 한효원의 조부 되시는 한장손 묘였다. 그 아래에 있는 한유는 한효원의 장남이었다. 사전에 미리 알지 못하고 답사에 나서 그냥 사진만 찍어 왔는데 후에 알고 다시 가보려 했지만 그곳이 신도시로 탈바꿈하여 공사가 한동안 진행되어 다시 찾지 못하고 말았다. 과거 사진을 임시저장으로 해놓은 것이 있어서 뒤늦게 찾아 올려본다. 찬성공 한장손(贊成公 韓長孫) 묘 오래 전에 답사를 한 묘역인데 못 보고 묘만 보고 왔다.公의 휘(諱)는 장손(長孫)이고 자(字)는 윤보(亂甫)이다. 판서공 서룡(判書公 瑞龍)의 큰 아들이고 청성군 승순(淸城君 承舜)의 손자이다. 세종(世宗) 4..
-
[경기 고양]김신민(金新民), 김당(金璫)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5. 27. 15:25
김신민(金新民), 김당(金璫) 묘 언제 다녀온 곳인지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저장된 기록을 보니 2012년이니 오래된 기록이다. 인근에 김전선생 묘가 있어서 그곳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다닌 기억이 나는데 아마 그때 생각지도 않게 찾은 묘역이라 생각된다. 묘지답사를 하다보면 내가 찾으려는 묘는 못찾고 생각지도 않은 묘를 찾게 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지금 이곳은 하루가 다르게 개발이 되고 있어서 오래 전에 찾은 묘역이라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지 걱정도 되는데 위성사진을 보니 그대로 있는듯 하여 그냥 올린다. 이해 바란다. 김신민(金新民) 1458년(세조 4) 1523년(중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시호는 충정(忠貞)이다.김신민(金新民, 1398년 ~ 1465년 9월[1])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명..
-
[경기 고양]김일진(숙종 국구 김주신부친)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5. 26. 14:30
숙종 국구 김주신 가족 묘 일찍이 고양 대자리에 있는 숙종 국구 김주신 묘를 다녀오면서 함께 있는 김주신 가족 묘를 올릴 요량으로 포스팅을 해놓았는데 잊고 지내다 이제야 찾아 올린다. 이곳에는 김주신 부친 김일진, 형 김성신, 후손들 묘들이 모여 있다. 이들 중 좌의정 김사목 묘도 함께 있다. 경주김씨 김일진(숙종 국구 김주신 부친) 부친은 예조판서를 지낸 정효공 야당 김남중, 조부는 김수겸, 증조부는 퇴계의 문인으로 좌의정을 지낸 충익공 주은 김명원이다. 어머니는 창녕성씨 생원 성순의 딸이고, 부인은 풍양조씨로 좌의정을 지낸 문효공 포저 조익의 손녀이며, 진사 조래양의 딸이다. 아들은 진사 김성신과 경은부원군 효간공 수곡 김주신이고, 김주신의 딸이 숙종의 두번째 계비인 인원왕후이다. 22세(1654년)..
-
[경기 고양]정지운(鄭之雲)선생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5. 26. 11:44
정지운(鄭之雲)선생 묘 아주 오래 전에 고양시 답사를 하다 우연히 묘역을 발견하고 안으로 들어가려다 문이 잠겨 있어서 그냥 오려다 옆길로 돌아보니 들어갈만한 구멍이 있어 얼른 사진만 찍고 나왔었는데 그때 바로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임시저장으로 해놓은 게 벌써 9년이 흘렀다. 이번에 다음블로그에서 임시저장을 모두 없앨 모양인지 아주 개악을 하고 있어서 빨리 정리하지 않으면 이마저도 없어질 것 같아 불완전 하지만 그냥 올린다. 꼭 필요한 사진이 없어서 광나루님 사진 몇 장을 함께 올린다. 이번에 다음블로그가 개편한 내용을 시험삼아 임시저장 된 글을 수정하며 올리는데 정말 열불나서 도저히 한 번에 못하고 여러번 나눠서 진행하고 있다. 잘 안되는 것을 이곳에 그대로 적어본다. 글자크기, 줄간격을 조정할 수 없도록..
-
[서울 용산]효창 공원(孝昌公園)-김구,삼의사,임정요원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5. 8. 09:00
효창 공원(孝昌公園)-김구,삼의사,임정요원 묘 효창공원은 수시로 다녀오는 곳인데 어쩌다 보니 임시저장에 넣어놓고 6년간이나 묵혀 놓았네요. 이제사 꺼내 글을 쓰려니 막막해서 일단 사진부터 올리고 글은 또 생각나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새삼 세월이 빠르다는 걸 느끼겠습니다. 효창 공원(孝昌公園) 원래는 지금의 공원형태가 아닌 송림(松林)이 우거지고 인적도 드물었던 곳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조선왕실의 묘역으로, 정조의 맏아들로 태어나 왕세자로 책봉받았으나 일찍이 요절한 문효세자의 무덤이 있었다. 당시에는 '효창원' (孝昌園)이라 불렀다. 같은 묘역에는 정조의 후궁이자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 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의 묘, 숙의 박씨의 소생인 영온옹주의 묘 등이 있었다.1894년 청일전쟁 당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