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기 여주]민진후(閔鎭厚) 신도비 및 묘-인현왕후 오빠
    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3. 4. 16. 10:00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및 묘-인현왕후 오빠

     

    민유중(숙종 국구)의 장남으로 인현왕후의 오래비이다. 민진후의 신도비와 묘역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답사를 하였다. 나는 원래 역사에 나오는 인물 당사자가 아닌 왕족이거나

    그 주변 사람, 또 유명인의 주변사람(왕비의 오빠 등)에 대해서는 호의적이지 못해서

    답사기에 잘 다루지 않는다. 그런데 문화재로 지정된 곳은 어쩔수 없이 다루게 된다.

    이곳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찾게 된 곳이다. 신도비는 마을 한가운데에 놓여 있다. 

    그 옛날 이곳이 신도비를 마을 한가운데 세울 정도로 힘이 있었다는 얘기다. 그 이후에

    세력이 약해져서 신도비 주위 땅을 팔게 되고 다른 사람들이 그곳에 집을 지었으리라...

    신도비를 찾았는데 묘역 표시가 잘 안되어 찾는데 애를 먹었다. 우측 백호쪽 능선위에

    묘역이 있었다. 그곳에 고종의 국구 민치록 묘도 같이 있다.

    민진후(閔鎭厚)
    1659(효종 10)∼1720(숙종 4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여흥(驪興). 자는 정순(靜純), 호는 지재(趾齋). 기(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강원도관찰사 광훈(光勳)이고, 아버지는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유중(維重)이며, 어머니는 좌참찬 송준길(宋浚吉)의 딸이다. 숙종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유수 진원(鎭遠)과 현감 진영(鎭永)의 형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81년(숙종 7) 생원이 되고, 1686년(숙종 12)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기사환국이 일어나 아버지를 비롯한 일가 친척들과 함께 관작을 삭탈당하고 귀양살이를 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로 다시 기용되었고, 사간원정언·홍문관부교리·부응교·사헌부집의 등을 거쳐 1697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관찰사로 부임한 지 7개월 만에 사간원대사간이 되었으며, 이어 강화부유수·형조참의·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한 뒤 1706년 의금부지사(義禁府知事)가 되었다. 이 때 유생 임보(林溥)가 세자 모해설(世子謀害說)을 발설해 일어난 옥사를 함부로 다뤘다고 해서 소론측의 탄핵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1717년 또다시 기용되어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를 다녀온 뒤, 의금부판사·돈녕부판사·홍문관제학·예조판서 겸 수어사·한성부판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719년 의정부우참찬에 올랐으나 병으로 사양하고, 그 뒤 개성부유수로 재직중 죽었다.
    인품은 선비의 기운을 돋우고 사문(斯文)을 지키는 데 힘쓰며, 외척의 호귀(豪貴)한 습속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글씨에 능해 여양부원군민유중신도비(驪陽府院君閔維重神道碑)의 비문을 썼다. 경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저서로는『지재집』이 전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문화재명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민진후(閔鎭厚) 신도비(제4호) 및 묘역(제6호)
      
       여흥민씨


     

     

     

     

     

     

    **민유중(인형왕후 부친) 가계도
    민기   민광훈     민시중
     
     
      민정중
    (좌의정)
      민진장
    (우의정)
     
     
      민유중
    (숙종국구)
      민진후   민익수   민백분   민기현   민치록
    (고종국구)
         
     
      민진원
    (우의정)
      민형수   민백상
    (우의정)
     
     
      민진영

     

    ▼ 인현왕후 오빠인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신도비는 마을 한가운데 있다..

    ▼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안내문...

    ▼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이수...

    ▼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귀부...

    ▼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후면...

    ▼ 민진후(閔鎭厚) 신도비 귀부 정면...

     

    ▼ 민진후(閔鎭厚) 묘 안내문.. 묘는 신도비의 우측 백호방의 능선에 있다.

    ▼ 민진후(閔鎭厚) 묘 원경.. 묘는 앞 뒤로 두개의 봉분으로 되어 있는데... 뒤에 묘는 합장묘이다.

    ▼ 민진후(閔鎭厚) 묘 전경.. 앞쪽은 두 부인중 한분인 연안이씨 묘이고... 묘비가 있는 묘는 합장묘이다.

    ▼ 민진후(閔鎭厚) 묘비... 두 배위의 본관이 같은 연안이씨이다.

    ▼ 민진후(閔鎭厚) 묘비 측,후면...

     

     

    ▼ 민진후(閔鎭厚) 묘 석물...

     

    ▼ 민진후(閔鎭厚) 묘 입수도두...

    ▼ 민진후(閔鎭厚) 묘 입수도두... 입수일절을 인위적으로 높게 돋았다.

    ▼ 민진후(閔鎭厚) 묘 후경

    ▼ 민진후(閔鎭厚) 묘 후경... 멀리 탐랑의 조산이 좋아보인다.

    ▼ 민진후(閔鎭厚) 묘 백호쪽 후경..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