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야초실용풍수지리학회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로 풍수지리 이론, 현장답사, 선현묘지, 풍수사례 등을 공유합니다. 풍수지리에 대해 궁금하신 내용이나 풍수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편하게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경남 밀양]작곡가 박시춘(朴是春) 옛집
    여행등산/여행이야기 2014. 8. 12. 10:00

    작곡가 박시춘(朴是春) 옛집

     

    영남루를 가기위해 주차를 하려니까 아래쪽에 차량이 가득차서 빙빙돌다

    윗쪽으로 길이 있어 무작정 올라갔다. 그곳에는 박시춘생가가 있었는데

    그 옆에 주차장이 텅텅 비어있다. 차량을 가지고 오는 분들은 네비 주소를

    영남루로 입력하지 말고 박시춘생가로 입력하면 생가 옆 주차장에 차를

    여유있게 댈 수 있다. 이런게 살아있는 정보가 아닐까?ㅎ

    박시춘선생 생가를 일부러 찾아보기는 힘들텐데 영남루라는 문화재 옆에

    있다보니 자연스럽게 찾게 된다. 이런 걸 두고 입지의 중요성을 말한다.

    영남루 주변에는 다른 문화재가 있지만 시간이 부족하여 그냥 지나쳤다.

     

    작곡가 박시춘(朴是春)  
     
    1913.10.28 ~ 1996.6.30 경남 밀양 출신, 대중가요 작곡가.
    본명은 순동(順童). 부유한 집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다분히 풍류적인 분위기를 즐기면서 자랐으며, 일본 유학시절 중학생의 신분으로 순회공연단을 따라다니면서 트럼펫·바이올린·색소폰 등 다양한 악기들의 연주방법을 익혔다. 특히 기타를 치는 솜씨가 뛰어났고 한때는 연예단에서 영사기돌리는 일을 하기도 했다. 우라타[浦田] 연예단 시절 〈몬테카를로의 갓난이〉·〈어둠 속에 피는 꽃〉 등의 곡들을 발표하면서 작곡가로 데뷔했다. 가수 남인수가 부른 〈애수의 소야곡〉이 히트하여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며, 이후 1930년대말부터 1960년대까지 40여 년 동안 무려 3,000여 곡이 넘는 대중가요를 작곡, 수많은 히트곡을 내놓아 가요사의 산증인으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1939년 조선악극단의 일본 공연에 참여할 때는 현경섭·송희선 등과 함께 '아리랑보이즈'라는 남성 보컬팀을 만들어 공연했으며, 일제말과 195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에는 악극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또 한국방송공사(KBS)의 경음악단을 이끌면서는 방송가요와 영화음악도 다수 작곡했다. 1958년에는 영화음악에서 한걸음 나아가 직접 오향영화사를 설립해 영화제작도 했으며 〈육체의 길〉과 같은 히트작을 내기도 했다. 대한 레코드 작가협회 초대회장(1958), 연예협회 초대 이사장(1961), 예술윤리위원회 부회장(1966) 등 대중문화계의 요직을 역임했다. 1965년 이후로는 창작활동을 중단했으며, 1982년에는 대중가요 창작인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 문화훈장 보관장을 수여받았다. 애상성 짙은 트롯 가요의 전반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그의 작품들에는 비교적 밝고 소박한 곡들이 많다. 대표작으로는 첫 히트곡〈애수의 소야곡〉 외에 〈가거라 38선〉·〈럭키 서울〉·〈비내리는 고모령〉·〈전선야곡〉·〈굳세어라금순아〉·〈이별의 부산정거장〉 등의 노래를 꼽을 수 있다.

    <브리테니커백과사전에서 인용>

     

     

     

     

     

     

     

     

     

     

     

     

     

     

     

     

     

     

     

     

     

     

     

    ▼ 박시춘 선생 동상... 뒤에 빨간색은?... 잡초를 제거하는 아저씨가 등에 지고 있는 제초기..ㅎ

    ▼ 박시춘 선생 옛집 안내문.. 이곳은 생가는 아니고 어릴적 살았던 집이다.

    ▼ 박시춘 선생 옛집 오르는 길...

    ▼ 박시춘 선생 노래비... 남인수가 부른 애수의 소야곡...

    ▼ 박시춘 선생 옛집은 초가삼간...

    ▼ 박시춘 선생 옛집은 가파른 언덕배기에 있다.

    ▼ 박시춘 선생 옛집... 엄밀히 말해서 생가는 이곳에서 100미터 아래에 있다.

    ▼ 박시춘 선생 옛집 윗쪽에 초가정자를 마련해 두고 있다.

    ▼ 박시춘 선생 옛집 옆에 세워져 있는 밀양아리랑 노래비

    ▼ 박시춘 선생의 남이섬 노래비... 봄날은 간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