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충남 부여]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답사는 즐거워/문화재답사 2014. 10. 9. 09:00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이상진 선생 묘를 찾아가는 길목에 은산별신제 신당이 있어서 자연스럽게 별신제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별신제(別神祭)란 향토신에 대한 제사인데 이곳 은산별신제는 특이하게 토속 신앙이 바탕이 되는 제전에 군대의 의식이 가미된 장군제적 성격이 짙은 의식 행사이다.

    행사를 볼 수 없었지만 주변에 있는 기념물과 벽화로 은산별신제를 재현해 놓은 그림을 보면서 대략적으로 별신제 행사를 느껴본다. 은산별신제 전수회관 옆 은산초등학교는 기운이 뭉쳐진 곳에 학교가 들어섰는데 지난 2000년도에 인근의 중학교와 통합되면서 폐교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좋은 기운이 들어오고 입지가 좋은 터는 폐가가 되는 예가 거의 없는데 이곳은 예외이다. 좀 더 연구해봐야 할듯하다.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별신당에서 매년 지내는 제는 산제(山祭)라 부르며, 3년에 1번씩 특별히 지내는 제를 별신제라 부른다. 신격은 산신(山神)·복신장군(福信將軍)·토진대사(土進大師)를 모신다. 복신은 백제 30대 무왕의 조카인 귀실복신(鬼室福信)일 것이며 토진대사는 도침대사(道琛大師)를 잘못 표기한 듯하다. 이 두 인물은 백제 재건을 위하여 임존성(任存城)을 근거로 일본에 있던 왕자 풍(豊)을 불러 실지회복을 꾸몄던 인물이다. 복신장군과 토진대사를 모시게 된 것은 백제 유민의 한을 풀어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특히 무주고혼(無主孤魂)의 병사들의 넋을 기리는 진혼굿의 의미를 지니며 이들의 영혼을 달래줌으로써 마을이 편안하고 무병하게 된다고 믿고 있다.

    별신제의 진행순서는 먼저 별신제를 진행하는 기성회(期成會)를 조직한다. 그후 제일(祭日)이 결정되면 1일은 진대(陳大)베기로 장승에 쓰일 나무를 베러가고, 2일은 휴식을 취하고, 3일은 별신꽃을 받는 꽃받기, 4일은 휴식, 5일은 별신올리기, 6~9일은 행군과 축원, 10~11일은 별신내리기로 하당굿이라 부르며, 12일은 화주만의 독산제(獨山祭), 13일은 장승제로 이루어진다. 별신제의 임원은 대장·중군·사령집사·선배비장·후배비장·통인·화주·육화주·별좌·축관·공인(工人) 등이다. 무당은 이 지역 단골무녀로 이언년 무당이 옛 법을 전승시켜왔으나 사망했다. 임원 중에 부정한 사람이 있어서는 안 되며, 무녀가 가무를 해서 기에 달린 방울이 울리면 신이 감응한 것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얼음을 깨고 찬물에 목욕재계를 한다. 제물은 산제가 일반적으로 날것을 사용하듯이 별신제물도 날것을 올린다. 별신제 축문은 별신축문과 산신축문 2가지가 있다. 제사는 대개 밤에 행한다. 당굿을 마친 후에 제관에 의해 강신(降神)·참신(參神)·삼헌향(三獻響)과 독축(讀祝)이 이루어지며 소지를 올리고 밤새 여흥이 계속된다. 1966년 2월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브리테니커백과사전에서 인용>

     

     충청남도 부여에서 서북쪽으로 8km를 가면 은산면 은산리가 있다. 이 지역에는 마을 사당인 별신당에서 오래 전승되어 오는 별신제란 향토신제(鄕土神祭)가 있는데 이것이 은산별신제이다.
    옛날 은산 마을에 큰 병이 돌아 젊은 사람들이 많이 죽어 나갔다. 어느날 밤 마을 어른의 꿈에 백제를 지키다 억울하게 죽은 장군이 나타나 병을 없애줄테니, 자신과 부하들을 양지바른 곳에 묻어 달라고 했다. 꿈에서 깨어 장군이 말한 곳으로 가 보니 오래된 뼈가 잔뜩 널려 있었다. 마을사람들은 뼈들을 잘 묻고 그들의 영혼을 위해 굿을 했다. 그 후 병이 사라졌고, 마을에 평화가 찾아왔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마을사람들은 장군과 병사들을 위로하는 뜻으로 제사를 지내왔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은산별신제이다.
    별신제는 2년에 1번씩 1월 또는 2월에 열리고, 보통 15일동안 약 100여 명의 인원이 참가한다. 제사에 앞서 마을 어른들은 제사를 준비하는 임원을 선출한다. 임원은 몸과 마음이 깨끗하고 부정이 없는 사람으로, 대장, 중군, 패장, 사령 등 군대조직의 이름으로 불리워지는데 이것은 은산별신제가 장군제(將軍祭)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제물을 준비하는 화주(化主)는 제물에 부정이 타지 않도록 조심하고, 제사에 쓰일 우물에 멍석을 덮고 주위에 금줄을 친 후 노랗고 검은 흙을 뿌려 부정의 접근을 막는다. 마을 장승 옆에 세워 둘 나무를 베는 진대베기를 하고, 신에게 올릴 종이꽃을 만들어 제물과 함께 당집으로 향하는데 제물을 나르는 사람들은 부정을 막기 위해 입에 백지를 문다. 제사는 저녁에 시작해서 새벽에 끝나는데, 무당이 굿을 한 후 마을로 내려와 마을의 번영을 위해 거리제를 열고 마을 동서남북에 장승을 세우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대규모 행사답게 의상, 소도구, 장비가 다양하게 동원된다.
    은산별신제는 백제 군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는 향토축제이다
    별신제는 매년 지내는 것이 아니라 윤달이 든 해의 음력 정월 또는 2월의 좋은 날을 택해서 마을 북쪽에 있는 당산(堂山)의 산제당(山祭堂)에서 거행한다. 이 산제당에서 매년 산신제(山神祭)를 지내고 있으며 별신제도 같은 당(堂)에서 지내게 된다.
    별신제를 지내려면 마을 원로들이 그 해의 별신제 임원을 선정해서 동짓달 무렵부터 준비에 들어간다. 임원은 대장(大將), 중군(中軍), 패장(稗將), 사령(司令) 등 군대조직의 명칭으로 불려지는데 은산별신제가 장군제(將軍祭)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임원들은 부정이 없는 사람들로 선정하며 일단 임원으로 선정이 되면 겨울날에도 목욕재계를 하는 엄격한 금기를 지켜야 한다. 제물을 장만하는 임원을 화주(化主)라고 하는데, 제물에 부정한 일이 있으면 신의 노여움을 사서 제사를 지낸 효과가 없을 뿐 아니라 탈을 입게 되므로 심신을 단정하게 하고 부정을 멀리 한다. 그래서 제사에 쓰는 우물에는 멍석을 덮어두고 근처에는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놓아 부정의 접근을 막는다.
    별신제는 먼저 제사에 쓸 술을 담그며 제사를 지내고 마지막날에 마을 동서남북에 있는 장승 옆에 세워둘 나무를 베는 의식인 진대베기가 있다. 이 의식은 은산에서 약 1~20리 안에 있는 산에 가서 미리 나무를 물색해 두었다가 진대 베는 날에는 대장 이하 임원들이 말을 타고 행군해서 산신에게 고사하고 나무를 베어 돌아오게 된다. 진대 베러 갈 때는 요란하게 삼현육각(三絃六角)을 울리며 나무는 화주집에 임시로 세워둔다.
    제사의 2, 3일 전에 꽃받기가 있다. 별신제에는 종이꽃을 만들어 큰 꽃다발을 신에게 올리는데 이 꽃을 수 개월 전에 미리 주문해 둔다. 꽃은 인근 절이나 꽃을 만드는 화장(花匠)의 집에서 만드는데 어느 경우나 부정없이 정성껏 만들어 올리게 된다.
    제사는 저녁에 시작해서 새벽에 끝나는데 강신(降神)을 위해서 무당이 별신축원굿을 하고 다음날에는 거리로 내려와 시장 복판에 있는 고괴목(古槐木) 앞에서 시장번영을 비는 거리제가 있고, 마지막날에 장승을 세우는 것으로 행사는 끝난다.

    <부여문화관광사이트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문화재명칭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소재지

    관리자(연락처)

    부여군청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표석(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전수회관

    ▼ 은산별신당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안내판

     

     

    ▼ 은산별신당 뒷산에는 백제시대의 산성으로 추정되는 은산당산성(충남기념물 제152호)이 있다.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유래비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를 벽화 형태로 담장에 기록해 놓았다.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전수회관 옆의 은산초등학교 유적지

    ▼ 현재의 은산초등학교 터... 폐교로 남아있다.

    ▼ 한쪽에는 은산면게이트볼장과 대한노인회 지부가 자리잡고 있다.

    ▼ 뒷산 이상진선생 묘에서 바라본 폐교된 은산초등학교 본관... 멀리 조안산이 좋아보인다.

     


    ♡♡야초 풍수상담 바로가기


    ◐야초 실용풍수지리학회 강의 일정 안내

    강의 개설 장소

    강좌명

    강의 시간

    강의 기간

     수강신청 기간

    수강신청 연락처

    수강신청바로가기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실용풍수지리

    (초급,중급)

    매주 목요일

    10시~13시(중급)

    14시~17시(초급)

    16주

    (1년과정)

     매년 학기 전

    (2월,8월)

    02- 3668-9890, 

    9871 ~ 2

    수강신청 바로가기

    성북문화원

    웰빙실용풍수

    매주 목요일 

    저녁 7시~8시30분

    12주

     분기(2월,

    5월,8월,11월)

    02- 765-1611

    수강신청 바로가기

    월곡1동 주민센타

    웰빙생활풍수

    기초과정

    매주 수요일 

    10시~12시

    12주

     매분기(3월,

    6월,9월,12월)

    02- 2241-5564

    수강신청 바로가기

    성북평생학습

    복을 부르는

    생활풍수

    매주 수요일 

    14시~16시

    12주

     매년 반기 전

    (2월,8월)

    02-2241-2420

    수강신청 바로가기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