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야초실용풍수지리학회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로 풍수지리 이론, 현장답사, 선현묘지, 풍수사례 등을 공유합니다. 풍수지리에 대해 궁금하신 내용이나 풍수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편하게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전남 해남)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 타고, 대흥사(大興寺)계곡 가을을 타다.
    여행등산/여행이야기 2017. 12. 28. 09:00


    두륜산(頭輪山)과 대흥사(大興寺)계곡


    해남 두륜산은 일찍이 대흥사의 주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흔히 두륜산 대흥사라고 입에 오르내리는 곳인데 이곳에 케이블카가 생겨나서 꼭 한번 가보고 싶었는데 이번 가을에 찾아갔다. 두륜산과 대흥사를 묶어 다녀왔지만 대흥사 경내는 시간이 촉박하여 들르지 못하고 계곡까지만 다녀오게 되었다.

    늦가을 막바지에 찾은 곳인데 그때까지도 단풍이 많이 남아있어서 멋진 풍광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시간이 촉박한 중에도 가을을 느끼면서 산정에서 머물다 내려왔다. 날씨가 흐려 기대한 만큼은 못되었지만 그래도 확트인 전경에 가슴이 후련했다. 다른 사람들에게 권할만 하다.

    대흥사 계곡은 가을이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었다. 마침 그때가 대흥사 단풍축제가 열리고 있던 때라 더 의미가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 경내를 찬찬히 들여다보고 와야 하는데 조금은 아쉽다.


     

    두륜산(頭輪山)


    높이 703m. 소백산맥 남단에 솟아 있으며, 능선이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대둔산(大屯山 : 672m)까지 뻗어 있어 하나의 산맥을 이루고 있다. 동쪽 사면은 급경사, 서쪽 사면은 완경사를 이룬다. 본래 대둔사의 이름을 따서 대둔산이라 하였으나 이 절의 이름이 대흥사로 바뀌어 대흥산으로 부르기도 했다.

    동백나무 등 난대성 상록활엽수림과 사찰을 비롯한 많은 유적지의 경관이 뛰어나 이 일대가 1979년 12월 두륜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34.64㎢이다.

    대흥사 입구에 있는 장춘동계곡은 맑고 풍부한 계곡물과 동백나무숲이 유명하며, 왕벚나무(천연기념룰 제173호)·후박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어 경치가 아름답다. 대흥사는 546년(진흥왕 7)에 아도화상이 창건했으며, 대웅전을 비롯하여 대광명전·표충사·침계루 등과 북미륵암의 마애여래좌상(보물 제48호)·3층석탑(보물 제301호) 등이 있다. 또한 50여 동의 넓은 경내에 탑산사동종(보물 제88호)·응진전전3층석탑(應眞殿前三層石塔 : 보물 제320호) 등이 있으며, 서산대사의 유물관이 있다.

    임진왜란과 6·25전쟁 때 재난을 당하지 않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그밖에 구름다리·백운대·금강굴·여의주봉 등 명승지가 있다.

    남서해안 일대를 바라볼 수 있는 산악공원으로 남국의 정취를 맛볼 수 있다. 일대에서는 10월에 민속축제인 강강수월래가 열리며, 주변에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월출산국립공원, 고산 윤선도의 녹우단유적지 등이 있어 앞으로 관광개발이 기대된다. 여관 등 숙박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500명 수용 규모의 야영장이 있다.

    <다음백과에서 인용>


    대흥사(大興寺)


    대흥사(大興寺)는 우리 국토의 최남단에 위치한 두륜산(頭崙山)의 빼어난 절경을 배경으로 자리한 사찰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22교구의 본사이다. 현재 해남, 목포, 영암, 무안, 신안, 진도, 완도, 강진, 광주 등 9개 시군의 말사를 관할하며, 서·남해 지역 사찰을 주도하고 있다. 두륜산을 대둔산(大芚山)이라 부르기도 했기 때문에 원래 사찰명은 대둔사(大芚寺)였으나, 근대 초기에 대흥사로 명칭을 바꾸었다.

    일찍이 서산대사가 “전쟁을 비롯한 삼재가 미치지 못할 곳(三災不入之處)으로 만년동안 훼손되지 않는 땅(萬年不毁之地)”이라 하여 그의 의발(衣鉢)을 이곳에 보관한 도량이다. 이후 대흥사는 한국불교의 종통이 이어지는 곳(宗統所歸之處)으로 한국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도량으로 변모하였다. 즉 풍담(風潭)스님으로부터 초의(草衣)스님에 이르기까지 13분의 대종사(大宗師)가 배출되었으며, 만화(萬化)스님으로부터 범해(梵海)스님에 이르기까지 13분의 대강사(大講師)가 이곳에서 배출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13 대종사 가운데 한 분인 초의선사로 인해 대흥사는 우리나라 차문화(茶文化)의 성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넓은 산간분지에 위치한 대흥사는 크게 남원과 북원 그리고 별원의(표충사,대광명전,박물관) 3구역으로 나뉘어져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북원에는 대웅보전을 중심으로 명부전, 응진전, 산신각, 침계루, 백설당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원에는 천불전을 중심으로 용화당, 봉향각, 가허루 등이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남원 뒤쪽으로 멀리 떨어져서 서산대사의 사당인 표충사 구역과 대광명전 구역이 있다.

    <대흥사 홈페이지에서 인용>


    문화재지정 

    명승 제66호

    문화재명칭

    두륜산 대흥사 일원(頭輪山大興寺一圓)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관리자(연락처)

    전라남도

     

    두륜산(頭輪山) 고계봉(高髻峰) 정상표석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를 타고 오르면서 바라본 풍경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 정류소에서 바라본 고계봉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에서 바라본 한반도 지형...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에서 내려 고계봉 가는 길에 만나는 명언들...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를 타고 가을을 느껴본다.

    두륜산(頭輪山)은 가을이 벌써 지나친 흔적이다. 조금 일찍 왔으면 형형색색의 기운을 느꼈을듯...

    케이블카에 대해 우리나라는 유난히 거부감을 나타내는데... 중국은 어디든 케이블카를 설치해 관광수익을 창출한다.

    두륜산(頭輪山) 고계봉 전망대 옥상에 설치된 예술품...

    두륜산(頭輪山) 고계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고계봉 정상...

    두륜산(頭輪山) 힐링로드...


    두륜산(頭輪山) 케이블카에서 내려와 대흥사(大興寺)계곡으로 접어들면 이곳은 아직 가을이 한창이다.

    대흥사(大興寺)계곡은 단풍축제기간이었다.

    대흥사(大興寺) 계곡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일주문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입구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진입로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계곡의 가을풍경...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단풍...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계곡 단풍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반야교...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계곡...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원경... 시간이 촉박하여 경내는 들르지 못했다.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계곡 늦가을 풍경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단풍이 절정이다.

    대흥사(大興寺) 단풍은 어느 곳에서는 아직도 푸름을 띠고 있다.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 계곡의 만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