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답사(청와대, 칠궁)답사는 즐거워/문화재답사 2007. 1. 20. 01:05
선희궁터에서 경복궁 주차장(청와대 방문객 집결지)을 가기위해서는
청와대 정문쪽으로 돌아 경복궁의 영추문(서쪽문)쪽 담을 타고 가야한다.
청와대 정문 옆의 분수대 앞은 북악산을 보기 가장 좋은 곳이다. 아름다운
목형산의 북악산이 우측에 험한 바위가 튀어 나온 모습을 적나라하게 볼 수
있는 곳이다. 천하제일지지인 곳에 건물이 들어섰지만 퇴임 후의 역대
대통령들의 말년이 좋지 못한 것이 이 바위 때문이라고들 한다.
목형산의 북악산... 그러나 우측 바위가 보기 흉하다...
분수대 앞쪽으로 신문고가 설치되어 있다. 억울한 백성들의 소리를 귀담아
듣는다고 하는데 청와대 앞에는 억울함을 호소하는 백성들이 이 추위에도
서성이고 있다.
억울함을 호소하며 이 추위에도 청와대 앞에서 시위하는 민원인...
경복궁의 서쪽문인 영추문... 東은 春(建春門)이요 西는 秋라...조화로움..
경복궁을 들어서니 궁금했던 탑이 보인다...
법천사지에 아름다운 탑비만 덩그마니 남아있던 지광국사의 현묘탑이다.
6.25 때 파괴되어 무려 만여 조각으로 흩어져 있던 것을 이승만대통령의
지시로 복원했다는 그 탑이다.
파란 만장한 운명을 타고 났는지 경복궁에 와서도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갔는데도 같이 가지 못하고 여기 눌러 앉아 있으니
무생물인 탑에도 타고난 운명이라는 것이 있는가보다...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국보 101호)
그 옆에 최근에 일본으로부터 반송 받은 정문부 장군의 북관대첩비
복제비가 서있다. 정문부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 길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병을 격파했는데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가 북관대첩비였다.
100년만에 반환 받아 원래의 비는 북한에 인도하고 복제비를 세운 것이다.
북관대첩비 복제비...
북관대첩비 이수 부분...
경복궁을 수시로 드나들면서 서쪽에서 들어오기는 처음인 것 같다. 그만큼
일상의 틀을 깬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새삼 느낀다.
인왕산을 가까이에서 보고 사진에 담아보는 것도 처음이고....
서쪽에서 흥례문 사진을 찍는 것도 처음이다...
왜 틀을 깨지 못하는 걸까...?
청와대 방문객들의 집결지인 경복궁 주차장에 도착해서 신분 확인 절차를
걸쳐 셔틀버스를 타고 춘추관으로 들어섰다.
이곳은 사진 촬영이 여의치 않아 사진이 별로 없다. DJ시절에 와보고
참여정부 시절에는 처음인데 예전 그 모습 그대로인데 헬기장에서 보이던
단경왕후 신씨의 치마바위가 신축 비서실 건물에 가려 보이질 않는다.
더구나 안개까지 끼어 정확한 위치도 확인이 잘 안되었다.
청와대 녹지원... 응달에 잔설이 쌓여있다.
봄이면 아름답게 꽃이 피는 곳인데 겨울이라 녹지원 한가운데 늠름하게서있는 반송을 제외하고는 별로 볼게 없다. 마침 영부인 권양숙 여사께서
관저로 들어가시다 우리를 보고 차창을 열고 손을 흔들어 주신다...
관저 앞에는 옛날 본관 건물터가 남아 있는데 예전에 그곳에 천하제일명당
이라는 표석이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보이지 않고 대신 관저 암벽에
새겨져 있다는 천하제일복지라는 글자를 복제해서 새웠다고 안내원이
말한다. 이 글자는 관저 공사중에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한다.
구 본관을 지나 노무현 대통령이 집무를 보시는 본관으로 향한다. 본관
현관을 지나 소연병장을 돌아 정문 앞에서 설명도 듣고 사진 촬영도 하는데
모두들 신이났다. 세상이 엄청 좋아졌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청와대가 아닌가 싶다.
청와대 본관 앞...
청와대를 나와 가장 가보고 싶었던 육상궁으로 향한다. 육상궁은 칠궁
이라고도 한다. 칠궁은 육상궁, 저경궁, 대빈궁, 연호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을 일컫는데 조선왕조 역대 왕들의 생모로서 정비에 오르지 못한
일곱분 후궁들의 신위를 모셔 제사지내는 곳이다.
칠궁 외삼문...
영조가 어머니의 제삿날에 나와서 몸을 깨끗이 하고 정성을 가다듬어
제사를 준비하던 냉천정이라는 건물이 있으며 뒤쪽에 우물인 냉천이 있고
앞쪽에는 연못이 있는데 가운데 부분에 자연(紫淵)이라고 각자가 새겨져
있다.
냉천정의 우물...
냉천정 앞의 연못...가운데 약간 하얀 부분에 자연이라는 각자가 있다.
저경궁(儲慶宮)은 선조의 후궁이며, 죽은 후 왕의 칭호를 받은 원종을 낳은
인빈 김씨의 신위를 모신 궁이다.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로서 인조가
왕위에 오른 후 왕의 칭호를 받았다.
대빈궁(大嬪宮)은 숙종의 후궁으로 경종을 낳은 희빈 장씨의 신위를 모신
궁이다. 숙종 27년(1701)에 희빈이 사망한 후 신위를 정동에 있는 집에
모셨다가 경종 2년(1722)에 희빈에게 옥산대부인의 칭호를 내리면서
사당을 현재의 교동인 경행방에 세웠다. 대빈궁은 고종 7년(1870)에 다시
돌아갔고, 1908년에 다른 궁들과 함께 다시 육상궁 안으로 옮겨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경우궁(景祐宮)은 정조의 후궁으로 순조를 낳은 수빈 박씨의 신위를 모신
궁이다. 수빈은 순조 20년(1820)에 세상을 떠났고, 이듬 해 신주를 창경궁
안에 모시고 현사궁이라 이름 지었다. 이후 현재의 종로구 계동의 양덕방에
따로 묘를 세우고 이름을 경우궁으로 지어 신주를 모셨다.
경우궁과 같은 건물에 선희궁이 있다. 선희궁은 사도세자(추존 장조)를
낳은 영빈 이씨의 신위를 모신 궁이다. 선희궁지에서 본 바로 그 선희궁이다.
덕안궁(德安宮)은 고종의 후궁으로 영왕을 낳은 순헌 귀비 엄씨의 신주를모신 궁이다. 광무 원년(1979)에 엄비가 아들을 낳으면서 경운궁 안에
거처할 궁을 세워 그 궁을 경선궁이라 불렀고, 엄귀비가 세상을 떠나자
덕안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13년에는 육상궁 안으로 옮겨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연호궁(延祜宮)은 영조의 후궁이며, 효장세자(추존 진종)를 낳은 정빈
이씨의 신주를 모신 궁이다. 진종은 정빈에게서 태어나 세자로 정해졌지만
10세에 세상을 떠났다. 정조는 즉위 후, 진종에게 왕의 칭호를 주고 정빈을
위해 정조 2년(1778)에 경복궁 서북쪽에 사당을 세우게 하고 연호궁이라
이름 지었다. 연호궁은 고종 7년(1870)에 육상궁 안으로 옮겨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연호궁 건물에 육상궁이 같이 있다.
육상궁(毓祥宮)은 영조의 생모이며 숙종의 후궁인 숙빈 최씨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영조 원년(1724)에 세워 숙빈묘라 했으나 영조 29년(1753)에
승격시켜 육상궁이라 고쳐 불렀다. 고종 19년(1882) 화재를 당하여 다음해에
복구했다. 육상궁은 칠궁이라고도 부르는데 그것은 1908년에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7개의 궁들을 이곳에 옮겼기 때문이다.
칠궁을 답사하는데 주위의 따가운 시선들(청와대 경계초소) 때문에 맘놓고사진을 찍지 못해 제대로 된 사진이 없다. 그래도 보고 싶은 칠궁을 봤으니
오늘 답사는 매우 흡족하다. 인왕산 주위의 서울문화유산 답사를 하면서
새삼 느낀 것은 세상이 많이 바뀌었으며 역사는 돌고 돈다는 사실과 답사에서
중요한 것은 역사적 사실과 함께 다가오는 느낌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한많은 후궁들의 사당에서 그 자식 왕들의 마음은 어땠을까를 생각해보고,
사직단이나 필운대나 선희궁지나...별로 볼 거리조차 미미한 곳에서 무엇을
느끼는가..?
북악산 너머로 보이는 하늘이 오늘따라 유난히 파랗다.
'답사는 즐거워 > 문화재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상주지역 사벌왕릉과 상주화달리3층석탑(보물117호)... (0) 2007.11.20 서울문화답사(백제고분군,선사주거지) (0) 2007.03.11 봉정사와 하회마을.. (0) 2006.10.09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과 그 주변 답사 (0) 2006.06.01 국립중앙박물관...| (0) 2006.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