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성남]양원군 이희 묘 [楊原君 李憘 墓]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11. 7. 7. 10:00
양원군(楊原君)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 1492 ~ 1551)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조선 성종(成宗)의 16남 12녀 중 막내이며 3세에 양원군에 봉해졌다. 1506년 정국공신원종일등훈(靖國功臣原從一等勳)에 사하여졌다. 어머니는 숙의남양홍씨(淑儀南陽洪氏)이다. 충의위(忠義衛) 증 찬성(贈贊成) 조경(趙經)의 딸과 혼인하였다. 시호는 정혜(貞惠)이다.<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인용>
묘는 배위(配位) 문천군부인(文川君夫人) 평양조씨(平壤趙氏), 계배 양근군부인(楊根君夫人) 문화유씨(文化柳氏)와의 원형의 합장분이다. 봉분은 아래에 호석(護石)을 두르고 주위에 활개를 갖추었다. 봉분의 오른쪽에 묘표(表表) 3기, 가운데 상석(床石) 3기, 향로석(香爐石) 3기, 장명등(長明燈) 2기가 있고 상석의 왼쪽과 오른쪽에 동자석(童子石), 망주석(望柱石), 문인석(文人石)이 각 1쌍 씩이 있다. 상석은 고석(鼓石) 4개가 받치고 있으며 장명등은 크기 120cm로 화사석(火舍石)의 네 면에 화창(火窓)을 두었다. 문인석은 복두(幞頭)를 쓰고 두 손은 홀(笏)을 마주 잡았으며 관복은 발목까지 내려온다.
양원군의 묘표는 비좌(碑座)와 월두형(月頭形)의 비신을 갖추었으며 3기중에서 가운데 위치한다. 높이는 175.5cm로 1799년(정조 23)에 건립되었으며 비문은 비신의 앞면과 뒷면에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묘는 배위(配位) 문천군부인(文川君夫人) 평양조씨(平壤趙氏), 계배 양근군부인(楊根君夫人) 문화유씨(文化柳氏)와의 원형의 합장분이다. 봉분은 아래에 호석(護石)을 두르고 주위에 활개를 갖추었다. 봉분의 오른쪽에 묘표(表表) 3기, 가운데 상석(床石) 3기, 향로석(香爐石) 3기, 장명등(長明燈) 2기가 있고 상석의 왼쪽과 오른쪽에 동자석(童子石), 망주석(望柱石), 문인석(文人石)이 각 1쌍 씩이 있다. 상석은 고석(鼓石) 4개가 받치고 있으며 장명등은 크기 120cm로 화사석(火舍石)의 네 면에 화창(火窓)을 두었다. 문인석은 복두(幞頭)를 쓰고 두 손은 홀(笏)을 마주 잡았으며 관복은 발목까지 내려온다.
양원군의 묘표는 비좌(碑座)와 월두형(月頭形)의 비신을 갖추었으며 3기중에서 가운데 위치한다. 높이는 175.5cm로 1799년(정조 23)에 건립되었으며 비문은 비신의 앞면과 뒷면에 있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양원군 묘소... 유계문 묘 바로 아래에 양원군 묘가 위치해 있다.
▼ 양원군 묘 전경...
▼ 양원군 묘 묘비...아마도 계배 양근군부인 문화유씨로 인해 이곳에 묘가 있는듯 싶다.
▼ 양원군 묘비.. 가운데가 양원군묘비이고.. 양원군의 왼쪽이 평양조씨, 오른쪽이 문화유씨 묘비.
▼ 양원군 묘비 뒷모습..
▼ 양원군 묘비 뒷면....묘비에 나오는 연대를 한번 심심풀이로 해석해보자..
皇明嘉靖三十年 辛亥十月 日 塟干(황명가정30년 신해시월 일 장간)...1551년 장사지냄
廣州南面陰村坤坐之原(광주남면음촌곤좌지원)...광주남면음촌에 곤좌(북동향)로 모심
辛亥後二百四十九年己未(신해후이백사십구년기미)...249년후(1799년,정확히는 248년)
9대손 (李)윤행이 다시 세움.. 즉 정조때 이 비석을 세웠다는 말이된다.
▼ 양원군 묘 청룡쪽 석물
▼ 양원군 묘 백호쪽 석물
▼ 양원군 묘 석물들...
▼ 양원군 묘 석물들...
▼ 양원군 묘 정면
▼ 양원군 묘 장명등
▼ 양원군 묘 후경
'답사는 즐거워 > 묘지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 성남]덕양군 이기(德陽君 李岐) 묘역과 구천군 이수(龜川君 李睟) 묘 (0) 2011.07.09 [경기 용인]십청헌(十淸軒) 김세필 묘 (0) 2011.07.08 [경기 성남]유계문 묘 (1) 2011.07.06 [인천 강화]양명학 강화학파의 비조, 정제두선생 묘 (0) 2011.07.05 [인천 강화]이건창 묘, 묘비조차 없는 문화재 (0) 2011.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