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는 즐거워
-
서울시 기념표석 답사(역사문화유적답사)는 티스토리에서 진행답사는 즐거워/역사문화유적지 표석 2020. 10. 5. 09:00
서울시 역사문화유적(기념표석)을 블로그에서 꾸준히 진행해 왔었는데 새롭게 바뀐 내용도 많고 위치도 많이 변동이 있었고, 또 새로운 표석을 세운 곳도 있어서 일괄적으로 정리를 할 필요를 느꼈는데 이곳 블로그에는 이미 지나간 표석을 올려 놓고 있어서 새로운 표석 내용을 기록하다보면 제목이 충돌을 일으킬것 같아서 새롭게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어서 그곳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이제는 약 4개월여 흘러서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듯 보여 이곳에다 링크를 올리니 새로운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을 원하시면 제 티스토리 '야초의 역사문화유적 답사'를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 당분간은 이곳에 올리는 포스팅을 티스토리에 공유할 예정이며, 점차로 블로그 내용을 모두 티스토리로 옮길 생각이니 이 점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울산 울주)위열공 김취려(威烈公金就礪)의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10. 1. 22:01
위열공 김취려(威烈公金就礪)의 묘 김취려장군 묘를 답사하기 위해 오래 전에 강화도 답사 때 찾았으나 시간도 석양이 임박하고 갈길도 멀었는데 한 눈에 묘가 들어오지 않아 바로 정제두선생 묘로 갔던 기억이 난다. 그 이후로 강화도 갈 때마다 김취려장군 묘를 답사하려 했지만 여의치 않아 지금까지 가질 못했다. 그런데 김취려장군 묘가 울산 울주에 장군의 탄생지 주면에 또하나가 있다. 이곳의 정식 명칭은 위열공 김취려의 묘라고 되어 있다. 이번에 울산에 일이 있어 갔는데 일부러 맘먹고 몇군데 묘지, 문화재를 찾았다. 이번에도 해가 뉘엿뉘였 넘어가는 때에 김취려 장군 묘를 갔는데 겨우겨우 찾았다. 울산에 있는 묘는 눈에 뻔히 보이는데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강화도 묘지도 그렇고 울산 묘지도 그렇고 내게 쉽게 보여..
-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29. 10:00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 임고서원(臨皐書院)을 방문하는데 성역화하여 볼거리가 아주 많다. 그런데 정작 서원 안으로는 코로나 때문에 입장할 수가 없다. 밖으로만 돌아다니다 한켠에 있는 계현제(啓賢齊)를 발견하고 그곳이 정몽주 선생 부친을 모신 재실이란 걸 알고 묘소를 찾아 나섰다. 초가을 날씨가 스산한 가운데 평일이라 아무도 없는 산길을 차를 끌고 갔는데 차 한 대가 겨우 통과할만한 길이라 중간에 누구라도 마주치면 낭패다 싶었는데 다행히 만나는 사람은 없었다. 묘역 끝까지 차가 갈 수 있도록 포장되어 있어서 잘 다녀올 수 있었다. 주말이나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때는 차로 진입하는 것은 신중해야 할 듯 하다. 묘역 입구에서 바라보니 잘 생긴 현무가 뒤쪽을 가려주고 묘역을 안아주고 있다. 묘역을..
-
[경남 함양]논개(論介), 최경회(崔慶會)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17. 10:00
논개(論介), 최경회(崔慶會) 묘 논개 묘는 함양에 있다. 그러다보니 별도로 찾아가기 전에는 함양 땅을 지척에 두고도 못가보게 된다. 장수까지는 자주 갔었는데 터널 하나만 지나면 되는데 그곳을 계속 미루고만 있었다. 이번에 함양, 산청을 맘먹고 찾은 이유 중 하나다. 답사하는 날 태풍이 불고 비가 많이 온다고 해서 걱정을 했는데 다행이 날씨도 무난했고 더위도 없어서 좋았다. 강의를 할 때 이곳 묘역을 자주 언급하는데 중출맥과 개장을 볼려면 겨울에 앞쪽 안산에서 바라볼 때 제대로 용맥이 보이는데 한 여름이라 그런 것을 기대할 수는 없고 흔적이라도 찾으면 다행이다 싶었다. 의기라고 알려진 논개인데 지역민들의 꾸준한 연구로 지금은 열녀라고 수정되는듯 해서 나도 참고문서를 열녀로 된 위키백과를 인용했다. 들판의..
-
[경남 산청]산청 조식 유적(山淸曺植遺蹟)(2)산천재(山天齋), 덕천서원(德川書院)답사는 즐거워/문화재답사 2020. 9. 16. 13:10
산천재(山天齋), 덕천서원(德川書院) 산청 조식 유적(山淸曺植遺蹟) 답사는 우선은 서울에서 거리가 멀고 당일로는 힘들기 때문에 다른 곳과 연계해서 다녀와야 하는데 보통은 함양, 거창과 어울려서 다녀오게 된다. 특히 조식 유적지는 산청에서도 끝에 있어서 그곳을 답사하고는 다시 가던 길을 되돌아 나오다보니 동선 잡기가 조금은 힘들다. 이번에도 새벽에 서울을 출발하여 함양, 산청을 다녀오다보니 마음은 급하고 소나기는 쏟아지고 또한 코로나로 문 닫은 곳이 많아서 뜻한대로 답사가 이뤄지진 못했다. 그래도 태풍과 코로나로 정신 없는 와중에 다녀온 곳이라 남다른 의미가 있는 곳이다. 산천재는 남명선생이 환갑 때 이곳 지리산이 보이는 산청으로 와서 후학을 양성하며 노년을 보낸 곳이다. 이곳에서 말년에 선조의 부름을 대..
-
[경남 산청]산청 조식 유적(山淸曺植遺蹟)(1)조식선생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16. 11:55
산청 조식 유적(山淸曺植遺蹟) 남명(南冥) 조식(曺植)선생 유적지를 찾으려고 몇 번 시도했는데 여의치 않아 답사를 못했는데 이번에 맘 먹고 찾았다. 지리산 법계사를 갈 때도 눈 앞에 보고서도 혼자가 아니어서 못갔는데 이번에는 일부러 남명선생 유적지를 찾고자 산청을 방문했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코로나로 인해 기념관은 개방을 하지 않아 못들어가고 묘소, 산천재, 덕천서원을 보고 왔다. 묘소는 풍수하시는 분들이 많이들 언급해서 유명해 진 곳인데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서 다루기가 뭐해서 말을 아끼던 곳이다. 산청 조식선생 유적지는 크게 묘소, 산천재, 기념관, 덕천서원으로 나눠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묘소와 덕천서원,산천재로 나눠 올릴 생각이다. 묘소는 산천재 뒤 산에 있는데 묘소에 오르면 조망이 아..
-
[경남 산청]성철스님 생가(겁외사)답사는 즐거워/문화재답사 2020. 9. 15. 12:20
성철스님 생가-겁외사(劫外寺) 산청답사를 하면서 남명 조식선생, 문익점선생은 많이 알려져 빼놓지 않고 찾지만 성철스님 생가는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실 일부러 찾아가지 않아도 큰 도로 주위에 있어서 접근하는 것은 아주 쉽다. 이곳은 성철스님 생가라 하기보다 겁외사라는 절이라고 볼 수 있다. 성철스님 생가에 겁외사 절을 지어 사찰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가든 절이든 이곳은 재물이 넉넉한 곳으로 무관, 종교인이 나올만한 자리라고 보여진다. 2000년대 들어 생가 뒤 현무봉을 가로질러 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어 생가로 들어가는 맥이 손상을 입고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치유된다. 겁외사(劫外寺)-성철스님 생가 성철(性徹 1912~1993. 11. 4)스님의 생가터에 있는 사찰로, 20..
-
[경남 고령]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 이인임(李仁任)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15. 11:35
광평부원군(廣平府院君) 이인임(李仁任) 이인임은 고려말, 조선초 역사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데 대부분 전횡을 일삼은 사람으로 나온다. 그런데 고려말 나라를 어지럽힌 사람들을 처단할 때 막상 이인임은 유배를 보내 그곳에서 사망을 했다. 그러니 대역죄인으로 보지는 않았다는 증거다. 그래서 이번에 경상남도 지역을 답사하면서 이인임 묘를 찾아 나섰다. 입구에 율리서원이 있고 이인임 사당인 승암재가 있다. 묘역으로 오르는 입구에 이인임 실기비가 세워져 있는데 그의 이력을 적은 비석이며 옆에는 이인임 시비가 세워져 있다. 조금 더 오르면 이인임신도비가 1976년에 세워졌다. 묘역은 신도비에서 산을 타고 조금 더 오르면 승암재 뒤편 능선 위에 자리잡고 있다. 묘비와 상석, 장명등이 있고 문인석, 석양이 있는데 망주..
-
[경기 고양]수춘군 이현(壽春君 李玹) 묘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7. 23:28
수춘군 이현(壽春君 李玹) 묘 고양시 원당 쪽에 고려공양왕릉이 있어서 여러번 답사객들과 답사를 했고 혼자서도 몇 번 다녀온 적이 있다. 이 일대에 묘들이 많아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수춘군 묘도 알게 되었다. 이곳도 2012년에 답사한 자료인데 여지껏 임시저장소에 보관해 오다가 이번에야 꺼내서 올린다. 이곳은 오래 되었는데도 기억이 생생하다. 추운 날 늦은 석양이었는데 남향의 묘인데 주위가 조금은 음습했던 기억이 난다. 사진만 찍고 서둘러 내려왔던 기억이 새롭다. 아마도 수춘군도 일찍 요절하였고, 입구에 있는 모친 혜빈 양씨의 단도 많은 한을 품고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봤었다. 그 뒤로 한 번도 다시 방문하지 않았는데 기억은 아주 많이 남아 있다. 수춘군 이현(壽春君 李玹) 수춘군 이현(壽春君 ..
-
[경기 여주]제간공 권규·경안궁주묘역(齊簡公 權跬·慶安宮主墓域)답사는 즐거워/묘지답사 2020. 9. 6. 23:55
제간공 권규·경안궁주묘역(齊簡公 權跬·慶安宮主墓域) 아주 오래 전에 묘지답사를 했는데 그동안 임시저장 형태로 보관해 오다가 이제야 꺼내서 올린다. 지금의 묘역이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하지 못했지만 대략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예전과 유사한듯 하여 그냥 올린다. 제간공 권규는 권근의 3남으로 배위는 태종의 3녀 경안궁주(당시에 공주를 궁주로 호칭)였는데 공주가 23세의 나이로 먼저 요절했고, 권규 자신도 29세로 요절했다. 그래도 일찍 결혼한 덕에 2남1녀의 자손이 있었는데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 자식들도 크게 되지는 못하고 이런 저런 이유로 풍파에 많이 시달린듯 보인다. 권규묘 백호쪽에 장남 권담 묘가 있고 그 아래에는 손자 권은 묘가 있다. 답사기는 답사 후 바로 올려야 느낌이 살아있는데 그러지 못해 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