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번 실시한 제 19차 상주지역 간산에 참여해주신 회원들과 진행을 맡은 임원여러분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간산은 가을 거지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혼사, 시제 등의 행사가 겹쳐 애당초 참석희망자가 부진할거라 예상은 하였지만, 그동안 화창하고 양명하던 날씨가 갑자기 영하권으로 ..
개념 유래 백두대간과 산맥체계의 차이 북한의 산지체계 -->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릅니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
백두대간 개념도 남한 통과 백두대간 개념도
■ 풍수기본도 설명 (1) 주산(主山) 혈장으로 내려온 주룡(主龍) 뒤로 가장 가까운 산을 주산이라 한다. 진산(鎭山), 현무(玄武), 소조산(少祖山), 부모산(父母山) 등으로도 부르며, 혈장 뒤쪽에서 혈로 불어오는 바람을 막아주기도 하지만 주된 역할은 혈을 맺기 위하여, 주룡(主龍)을 출맥(出脈)시킨 어..
ㅇ. 음양오행 기초 음양오행이론은 풍수지리학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동양학의 근본 사상이다. 즉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陰)․양(陽)의 두 원리가 되어, 쇠하고, 줄어들고, 성(盛)하고, 늘어나는 것으로 설명되는 음양설과, 이 영향을 받아 만물의 생성소멸(生成消滅)을 목(木)․화(..
근자에 풍수지리를 대상으로 하는 많은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가 늘어나고 있다.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대부분은 어려운 용어를 사용하여 일반인이 보기에 어려움이 많다. 어쩔수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풍수용어는 쉽게 풀어서 누구나 접근하기 쉽도록해야한다는 생각이다. 앞으로 차근차근이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