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솔직히 왕릉답사기를 아침에 올릴려고 하다가도 혹시나 기분 언짢아 하실 분이 계실까봐 점심시간 이후에 올립니다... 왕릉이나 묘지에 대해 다른 생각이 있으시면 답글이나 쪽지로 알려주십시요.. 다른 방법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식사 후 소령원으로 향했다. 예전부터 ..
파주지역에 산재한 능원묘(陵園墓)를 답사했습니다. 아침 일찍 도착해서 바라보는 왕릉의 모습은 안개가 자욱히 깔려있고 얼마전에 내린 눈과 간밤에 내린 서리가 어우러져 은은한 기운이 서려있다. 햇빛을 받아 나무에서 서리들이 떨어질 때는 빛에 반사되어 가는 비가 내리는듯 운치를 더해 주었다..
오늘은 업무차 청량리 부근을 지나다 영휘원을 잠시 들렀습니다... 가을이 막바지인데 단풍색깔이 너무나 고와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감상하시길.... 영휘원에는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헌귀비 엄씨의 원(園)으로 순헌귀비는 의민황태자(영왕)의 어머니로 양정의숙, 진명여학교..
광복절날 왕릉답사 왕릉의 평온한 사초지 8월15일은 광복절이자 정부수립일이고 하필이면 우리나라와 중국이 그렇게도 반대하는 야스쿠니 신사를 일본 수상이 참배한다는 날인데 우리는 그런 일본으로부터 온갖 핍박을 받은 의친왕의 기제에 참석하는 날입니다. 출발부터 감정이 약간 복받칩니다. ..
조선왕릉여행(9) - 왕릉 관람 포인트 지금까지 조선왕릉의 전반에 대해서 기본적인 것을 알아 보았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왕릉여행을 앞두고 송구스런 이야기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작은 일이지만 여러분과 약속도 있고해서 꾸준히 자료를 올리고 있었지만 갑자기 폭주하는 일이 생겨서 잠시 시간을 ..
오늘은 왕릉의 부속물인 석물(石物)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용어가 조금 지루한 감이 없지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다소 무리인줄 알면서도 오늘 한꺼번에 석물을 모두 설명할려고 합니다. 오늘까지 용어설명을 모두 마치고 내일부터는 왕릉여행을 본격적으로 해볼까 합니다. 그러니 좀 지루하시..
능원에 올라오심을 환영합니다....ㅎㅎㅎㅎ 지금까지 사초지 아래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부터는 능 주위에 대한 것들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제일먼저 봉분(封墳)배치를 알아보겠는데요..... 조선왕릉은 봉분(封墳)의 형태 및 배치에 따라서 다섯 가지로 분류됩니다. 즉 왕과 왕비의 무덤 배치방식에 ..
왕릉의 구조를 보시면서 용어를 이해하세요... 1) 금천교(禁川橋) 2) 홍살문[紅箭門] 3) 판위(板位) 4) 참도(參道) 5) 수복방(守僕房) 6) 비각(碑閣) 7) 석계(石階) 8) 정자각(丁字閣) 9) 예감(坎) 10) 산신상석(山神床石) 11) 사초지(莎草地) 12) 석마(石馬) 13) 무석인(武石人) 14) 문석인(文石人) 15) 장명등(長明燈) 16..
왕릉의 구조 1) 금천교(禁川橋) 2) 홍살문[紅箭門] 3) 판위(板位) 4) 참도(參道) 5) 수복방(守僕房) 6) 비각(碑閣) 7) 석계(石階) 8) 정자각(丁字閣) 9) 예감(坎) 10) 산신상석(山神床石) 11) 사초지(莎草地) 12) 석마(石馬) 13) 무석인(武石人) 14) 문석인(文石人) 15) 장명등(長明燈) 16) 혼유석(魂遊石) 17) 망주석(望柱..
왕릉의 구조를 보시면서 용어를 이해하세요... 1) 금천교(禁川橋) 2) 홍살문[紅箭門] 3) 판위(板位) 4) 향로(香路), 어로(御路) 5) 수복방(守僕房) 6) 비각(碑閣) 7) 석계(石階) 8) 정자각(丁字閣) 9) 예감(瘞坎) 10) 산신상석(山神床石) 11) 사초지(莎草地) 12) 석마(石馬) 13) 무석인(武石人) 14) 문석..